“늘어나는 전ㆍ월세… 주택 금융지원도 발맞춰야”

한은 경기본부 ‘금융인 포럼’ 경기지역 주택 안정화 논의

부동산 추세 ‘엇박자 정책’ 화두

주택 구매자만 혜택 초점 ‘한계’

대형건설사 지원 쏠림현상 지적

‘리스크 부담’ 기관 고충도 나눠

경기지역 주택 안정화를 위해서는 세입자와 소규모 건설업자 등을 위한 정책 금융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21일 오전 대회의실에서 주최한 ‘2013 경기도 금융인포럼’에 참석한 30여명의 경기지역 금융인들은 한결같이 전ㆍ월세 수요 급증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금융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최근 추세를 반영한 정책 금융이 이뤄져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덕례 한국주택금융공사 연구위원은 “전ㆍ월세 선호 경향이 두드러지고 주택 건설 역시 대규모보다는 소규모로 이뤄지고 있는 추세”라면서 “그럼에도 정책 금융은 주택 구매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대출 지원 또한 대규모 주택을 건설하는 대형 건설사 쪽에 집중돼 있다. 월세입자와 소규모 건설업자 등을 위한 정책 금융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유장춘 기술보증기금 수원본부장도 “주택 공급을 늘림으로써 전월세자가 집을 사게끔 유도하겠다는 발상은 향후 큰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며 “정책 금융을 통해 서민들의 구매력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밝혔다.

오정윤 NH농협은행 경기영업본부 기획평가단장 역시 수요 친화적인 서민 금융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데 동의했다.

이날 금융기관의 고충에 대한 의견도 이어졌다. 장주성 기업은행 경수지역본부장은 “소규모 건설사에 대출을 할 경우 은행 입장에서는 많은 리스크를 부담할 수 밖에 없다”며 “리스크 분산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재수 한국은행 경기본부장은 “경기도 금융인 포럼은 지역의 당면 과제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고자 마련한 자리”라며 “경기도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힘을 모으자”고 당부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