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판 곳곳 멀칭재배ㆍ비닐하우스… 사계절 신선채소 ‘식탁혁명’ 이끌어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 따라 농촌진흥청에서는 신선채소를 연중 공급하기 위한 멀칭재배(농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 표면을 덮어주는 것) 및 비닐하우스 설치에 관련된 다각도의 연구와 농가 기술보급 확대가 급속도로 진행됐다.
보통 논 감자를 심고 60여 일 만에 수확한 후 다시 벼를 심는데, 멀칭재배는 이모작을 손쉽게 할 수 있고 잡초 방제와 지온 상승, 가뭄 방지 등 1석5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처럼 딸기, 봄무, 감자, 고추 등의 멀칭재배와 수박, 참외의 소형터널재배, 죽재하우스를 이용한 채소의 주년 생산 등 다양한 연구와 기술 보급은 농가의 생산성과 소득 증대에 많은 기여를 했다.
시설 면적도 1985년 기준 2만8천588㏊로 1970년에 비해 무려 22배나 증가해 우리나라 들판 곳곳이 비닐하우스로 덮이면서 ‘백색혁명’이라는 용어가 탄생했다.
이와 함께 80년대에는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젊은 농촌 인력의 급격한 이탈로 기계화기술 개발이 중요한 해결과제로 떠올랐다.
우리나라의 벼 기계이앙 재배 연구는 작물시험장에서 1971년 수동식이앙기 실용화시험으로 시작됐다. 이후 1977년 국내에 동력이앙기 50대가 도입되면서 80년대 본격적으로 중묘기계이앙 육묘 및 본답재배에 관한 연구가 수행됐다.
파종 방법 및 육묘관리 기술, 지대별 재배 시기 및 재식밀도 설정, 본답 비배 관리 및 물 관리 등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 경운에서 파종·이앙작업까지 기계화기술을 완성함으로써 생산량은 증대되고 생산비는 절감됐다.
육묘기간은 45일에서 30~35일까지 단축됐으며 10a당 9시간이 걸리던 작업시간도 6시간으로 짧아졌다. 이앙 노력시간 역시 기존 10a당 24시간에서 8시간으로 획기적으로 줄었다.
중묘기계이앙 재배의 경제적 기술가치는 1980년에서 2030년까지 약 6조원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처음부터 기계이앙이 농민들의 환영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벼 이앙기 개발과정 초기에 농업공학부 시험포에 이앙기로 이앙하는 모습을 보면서 주변 농민들은 “올 가을에 벼를 수확한다면 내 손가락에 장을 지지겠다”고 비웃는 일이 다반사였다. 심지어 몇몇 농민은 기계이앙한 모를 뽑아내고 손으로 다시 이앙하는 일이 빈번했다.
그러나 기계이앙한 모가 일정기간이 지나면서 손으로 이앙한 것과 거의 같은 생육을 보였을 때 농민들의 인식도 바뀌게 됐고, 점차 기계이앙을 받아들이면서 벼농사 기계화가 급속히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밖에 80년대에는 과수봉지재배와 비가림재배법이 개발되면서 생육기 비로 인한 병 발생을 억제하고 농약살포 횟수를 절감해 고품질 친환경재배가 가능하게 됐다.
농진청 관계자는 “비닐의 이용은 사계절 신선한 농산물을 우리 식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백색혁명으로 농한기와 보릿고개를 없애는 데 크게 기여했다”며 “또 중묘기계이앙 재배기술 개발은 벼재배 과정 중 가장 중노동이라 할 수 있는 손이앙작업으로부터 해방되는 계기를 마련해 현재까지도 가장 안정적인 재배기술로서 농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