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가 우려로… 인천 용유·무의지역 개발 ‘먹구름’

최대규모 사업신청자 신뢰성 의문 ‘선정 불투명’
경제청 “요건 불충분…사업계획서도 문제” 지적

인천 용유·무의지역 개발사업이 허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수 기업이 참여의사를 밝혀 토지보상 등 주민 기대감은 커졌지만, 최대 규모 신청자의 사업성사 여부조차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18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지난달 말 대기업 등 모두 12곳이 용유·무의 지역 개발사업에 대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들이 제시한 개발 총 면적은 2천448만㎡로, 사업비는 13조 8천241억 원에 달한다.

하지만, 전체 개발면적과 사업비 각각 41%, 52%를 계획한 ‘트로이스트로피카나홀딩스’의 사업 성사가 불투명한 전망이 나오면서 전체 사업마저 흔들리고 있다.

해당 사업자로 선정되려면 총자산, 시장 점유율, 최근 5년간 유사시설 개발실적, 사업계획 실현 가능성, 재원조달계획 등 다소 까다로운 검증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갑자기 등장한 신생기업이 무의지역에 무려 7조 2천억 원을 투입, 관광·레저 단지를 조성하겠다며 사업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정지호 용유·무의 주민토지주생존권회복위원회 사무국장은 “여태껏 들어보지 못했던 기업이 갑자기 등장한 것도 모자라 말도 안 되는 사업계획을 제시했다”며 “당연히 선정절차에서 탈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가를 진행 중인 인천경제청도 부정적이긴 마찬가지다. 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아직 평가가 진행 중인 만큼 사업자 선정 결과를 예측하긴 어렵다”면서 “다만, 해당 기업은 사업시행 요건에 어긋나고, 사업계획 자체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용유지역 오성산과 을왕산 일대(673만㎡)에 3조 5천500억 원을 투입해 항공기 정비단지로 조성하겠다는 ‘(재)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의 사업계획도 주민들의 기대와는 거리가 멀다. 사업부지 상당수가 인천국제공항공사 소유인 만큼, 주민들의 토지 보상과는 연관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김정헌 시의원은 “겉보기에는 용유·무의 전체 개발 계획이 나왔지만, 속 빈 강정에 불과하다”며 “20여 년째 개발제한 구역에 묶여 재산권 침해를 받아오던 주민의 기대감만 또 무너지게 됐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재)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관계자는 “사업자로 선정되면 미국·유럽·홍콩의 신빙성 있는 외국인투자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라며 “사업부지 내 일부 주민 토지에 대해선 충분한 협의를 거쳐 만족스러운 보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로이스트로피카나홀딩스 측과는 연락이 닿지 않았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