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B ‘케이스코어’ 연내 활용 불량률 낮은 ‘실수 연체자’ 구제 저신용층 6등급이상 상향 조정
새 개인신용평가 체계 도입으로 250만여명의 개인신용등급이 개선되고 17만명이 저신용층에서 탈출하게 될 전망이다.
개인 신용평가업체인 KCB(코레아크레딧뷰로)는 18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새 개인신용평가 체계인 ‘케이스코어(K-Score)’를 올해 말부터 시중은행에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케이스코어는 갚을 능력이 있음에도 실수로 연체한 사람들이 빠르게 신용등급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단기간 현금서비스를 받거나 제2금융권을 이용해도 신용에 불이익이 없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케이스코어가 도입되면 약 252만명의 신용등급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실수로 연체한 사람의 신용회복 속도가 종전보다 빨라진다.
실수로 연체한 대출자의 불량률이 일반 연체자(9.8%)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을 고려한 조치로 약 95만명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또 7~10등급의 저신용자 17만명이 6등급 이상으로 신용등급을 회복, 제1금융권에서 대출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밖에 짧은 기간 현금서비스를 쓰거나, 자동차 구입을 위해 캐피탈 업체에서 저금리 대출을 받아도 등급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됐다.
대출을 성실하게 상환하려는 소비자들에 대한 혜택도 강화된다.
과거 부채를 모두 상환해야 신용이 개선될 수 있었다면 새 체계에서는 상환 도중이라도 평점이 좋아질 수 있다. 또 꾸준히 신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소비자의 불량률이 낮은 점을 고려, 본인의 신용을 확인한 이력이 유리하게 반영되도록 했다.
KCB 관계자는 “과거에는 신용거래 이력만을 가지고 평가를 했다면 새로 도입된 케이스코어는 신용여력(저축여력)과 함께 소득안정성, 부채 성실상환 등 개인의 신용성향까지 복합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