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SK케미칼 직물공장 부지 애물단지

용도변경 특혜 논란 속 8년동안 개발 낮잠 방치 지역 슬럼화 주범 ‘원성’

국내 굴지의 대기업 SK의 모태인 수원 권선구 평동 SK케미칼 직물공장(구 선경직물) 부지가 8년여 동안 용도변경 특혜 논란 속에서도 개발이 이뤄지지 않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면서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지속되고 있다.

중공업 지역이던 평동 일대에서 SK직물공장 부지만 상업지역으로 변경돼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음에도 폐쇄된 공장이 장기간 방치되면서 주변지역의 슬럼화를 더욱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수원시와 평동 주민 등에 따르면 수원시 권선구 평동 4의 11 일대 옛 SK케미칼 직물공장은 지난 2005년 문을 닫았다.

이후 2006년 이 일대에 토지 용도 조정이 이뤄지면서 인근 주민 소유지는 일반 주거지역으로 지정됐으나 공장 부지는 상업지역으로 용도가 변경됐다.

주민들은 같은 중공업 지역이었음에도 공장 부지만 상업지역으로 변경되면서 자산가치가 30~40% 높아 진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는 행정이라며 현재까지 반발하고 있다.

특히, 8년 동안 공장이 흉물스럽게 방치되면서 주변지역도 슬럼화, 혐오지역으로 전락하면서 주민들은 수원시와 SK 측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태수 평동개발위원회 위원장은 “선경 직물시절, 공장 주변 땅을 모두 자연녹지로 묶어 놔 주민들은 집도 제대로 짓지 못하고 환경이 오염되는 등 피해를 당했는데 같은 지역임에도 SK케미칼 직물공장 부지만 상업지역으로 바뀐 것은 나머지 평동지역과의 형평성이 어긋난 특혜 제공으로 공장부지를 주거부지로 환원해야 한다“며 “더구나 대기업이 폐쇄된 공장을 방치, 주변지역까지 슬럼화시키는 것은 지역사회 환원은 커녕 피해만을 주고 있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수원시는 적법한 절차를 통해 용도가 변경된 것으로 다시 되돌릴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심의를 거쳐 용도를 변경한 것으로 상업지역 지정에는 법적인 문제가 없다”며 “적법 절차를 걸쳐 상업지역으로 지정된 곳을 다시 주거지역으로 바꾸기도 힘들다”고 밝혔다.

SK건설과 금융권 등이 출자해 현재 부지를 소유하고 있는 서수원개발(주) 관계자도 “용도 변경은 관청에서 인허가를 내준 것”이라며 “공장 방치와 관련한 주민들의 불만은 이해가 가지만, 경기 침체로 부지를 개발하거나 매각하고 싶어도 할 수 조차 없는 실정이어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leekj5@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