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이자 부당편취’ 후속 조사 하세월
중앙회ㆍ안행부, 부천지역 금고 폭리사태 후 전지점 전수조사
9월 완료예정 40여일 지나도록 지지부진 ‘소비자 불만 폭발’
새마을금고중앙회 “법률검토 등 신중처리… 이달안 마무리”
부천의 한 새마을금고가 고객에게 변동금리로 아파트담보대출을 해준 뒤 고정금리로 이자를 받는 방식으로 수천만원에 달하는 폭리를 취한 것으로 드러나 물의를 빚은 가운데(본보 8월23일자 1면) 이자 환급 여부 결정을 위해 전국 전 지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던 새마을금고 중앙회와 안전행정부의 후속 조치가 지연되면서 관련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일부 관련자들은 가뜩이나 인원이 부족한 새마을금고 중앙회 측이 자체 조사를 통해 1천400여개가 넘는 전 법인에 대해 명백하게 조사 할 수 있겠냐며 조사 신뢰성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11일 금융소비자연맹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이후 새마을금고 부당이자 편취 관련 민원이 무려 450여건에 달하는 등 소비자들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이에 새마을금고 중앙회와 안전행정부는 지난 9월말까지 전국 1천406개 법인과 3천200여개 분소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 이자 환급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었다.
안전행정부가 지침 하달 등 총괄 관리를 맡고 중앙회 측은 지역 법인과의 협조를 통해 관련 사안을 조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조사 완료 예정 시기였던 9월말 이후 40여일이 지난 현재까지 조사는 마무리 되지 못하고 있다. 전국 1천406개 법인과 3천200여개 분소의 대출 내역을 일일이 확인하는 등 관련 사안을 명백히 조사할만한 인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제 안전행정부의 새마을금고 업무 담당 직원은 10여명에 불과하며 새마을금고 중앙회 측 감사 담당 직원도 300여명 밖에 안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관련자들은 절차 지연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는 한편 조사 신뢰성에 대해서도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금융소비자연맹 측에 민원을 제기한 김모씨(54)는 “9월말까지 전국 전 지점의 대출건을 일일이 조사한다는 말을 했을 때부터 믿음이 안갔다”며 “또 이미 민원을 제기했던 관련자들 상당수가 대출에 큰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들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조사가 얼마나 명백하게 이뤄질지도 의문”이라고 불평했다.
이에 대해 새마을금고 중앙회 관계자는 “문제가 드러난 사안에 대해서는 이미 환급조치가 이뤄졌다. 다만 법률 검토 등 신중하게 처리해야하는 부분이 많아 당초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가능한 한 11월 안에 조사 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