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 10년, 새로운 성장동력은] (상) 인천경제자유구역 현주소
이는 대한민국 1등 경제자유구역인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에겐 위기가 아닐 수 없다. 본보는 3회에 걸쳐 출범 10년을 맞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실상을 살펴보고 앞으로 10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성장동력엔 무엇이 필요한지 등 대책을 찾아본다. /편집자 주
정부는 국정 핵심과제인 동북아경제중심 프로젝트 일환으로 경제자유구역(FEZ: Free Economic Zone) 사업을 선정해 지난 2003년 7월 인천·부산 진해·광양만을, 2008년 4월 황해·새만금군산·대구경북, 올해는 동해안(강원)과 충북 등 8개 경제자유구역을 지정·개발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 사업은 외국인의 투자유치를 위한 사실상 ‘글로벌 신도시’(국제적 규모의 공항 및 항만을 중심으로 물류, 산업, 국제비즈니스, 주거, 교육 및 의료, 관광·레저 등을 위한 대규모 단지 조성 등)를 창조하는 복합개발 사업이다.
이는 공항과 항만 등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를 최대한 활용해 동북아의 물류중심으로 육성하고, 지금까지의 제조업 위주에서 벗어나 첨단산업 및 지식기반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키 위한 것이다.
GCF 유치ㆍ외국 명문대학 분교 개교 등 국제도시에 걸맞는
교육ㆍ관광ㆍ엔터테인먼트 서비스산업 허브로… 정부 지원 시급
이 같은 목적을 안고 10년 전 출범한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지정 이듬해 100만 달러(11억 원)에 불과했던 외국인 직접투자(FDI) 실적이 2012년 말 20억6천900만달러(2조 2천억 원)로 증가했고 2013년 6월까지 FDI 총누적신고액은 50억6천만달러(5조 4천억 원)에 달한다.
또 지난해 ‘환경부문 세계은행’인 GCF(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을 유치하면서 국제도시로 변모하고 있고 여기에 한국 뉴욕주립대 등이 문을 열어 국제 교육 허브로 가는 초석을 다졌다. 특히 엠코테크놀로지 등 58개 글로벌 기업이 투자해 상하이, 두바이 등 세계 31개국 153개 FEZ 중 6위에 올라섰다.
하지만, 오는 2020년까지 3단계 개발을 목표로 45%의 진행률을 보이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은 향후 10년을 대비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수차례 정부에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서비스산업 위주의 경제 체질 개선을 건의한 끝에 지난 4월 기획재정부가 송도국제도시를 서비스산업 허브로 육성하겠다는 내용을 대통령에게 보고했으나 이후 특별한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IFEZ의 지향점은 명확하다. 교육·의료·관광·엔터테인먼트·레저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유치를 통해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