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영어B 까다로워 등급 예측 ‘깜깜’… 치열한 눈치작전 예고

국어도 6·9월 모의고사보다 어려워
입시학원 “등급 커트라인 추정 자신없다”

올해 첫 수준별 수능이 치러진 가운데 어려운 B형이 비교적 까다롭게 출제되면서 그 어느 해보다 대입전형에서 치열한 눈치작전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7일 시행된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교시인 국어 영역은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됐지만 다소 까다로운 문제가 포함됐다는 것이 중론이다.

쉬운 A형을 본 자연계 수험생, 어려운 B형을 본 인문계 수험생 모두 “아주 쉽지는 않았다”는 반응이다.

경기도교육청의 대입상담교사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안산강서고 이주민 교사는 “국어 영역이 지난해는 물론 6월과 9월 모의고사보다 어려웠다고 분석된다”며 “문법은 상대적으로 A형이 어렵게 느껴졌을 수 있고 B형도 비문학 과학지문이나 평소 학생들이 접하지 못했던 관념적 작품이 지문으로 나와 제한된 시간에 소화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2교시인 수학은 AB형 모두 2·3점짜리 문항은 EBS 교재와의 연계도가 높아 중하위권 학생의 성적은 오를 것으로 보이지만, 최상위권을 변별할 고난도 문제가 두세개 포함돼 체감 난도는 더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입시 전문가들은 자연계 학생들이 응시한 B형의 경우 4~5개 문항이 다소 어렵게 출제되면서 수학의 1등급 커트라인이 지난해보다 다소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또 처음으로 AB형을 나눈 영어의 경우 6월과 9월 모의고사 이후 쉬운 유형으로 갈아타는 학생들이 많아져 A형에 몰렸지만 상대적으로 영어에 자신감을 가진 수험생이 B형에 남아 있어 평균은 올라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빈칸채우기 문제나 정답을 한번 더 고민해야 하는 문제 등이 출제되면서 AB형 모두 수험생들은 어렵다고 체감했다.

전반적으로는 가장 최근이자 시험 방법이 가장 비슷했던 지난 9월 모의고사보다는 약간 어렵게 느껴졌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계열별로 인문계는 국어는 평이하고 수학은 쉽고 영어는 약간 어려워져 큰 틀에서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자연계는 국어도 까다롭고 수학도 어려운 편에 영어도 난이도가 높아 학생들이 어렵게 느꼈을 수 있다.

경기과학고 학생인 이주상군(18)은 “영어가 어려워 시간관리 하기가 어려웠고, 평소 강점이던 수학도 시간을 딱 맞춰 풀 수 있을 정도였으니 다른 학생들은 더 어렵게 느꼈을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매년 수능 당일 전년도 수능과 비교한 영역별 점수 등락폭과 1등급 커트라인 추정치를 공개해온 입시학원들은 “올해는 자신없다”는 반응을 보일 정도다.

이에 따라 수험생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수준별 시험으로 나온 국어·수학·영어 3개 영역 A·B형 실제 응시자들의 성적수준과 분포를 짐작하기 어렵고, 이미 수시모집 1차에 지원해 놓고 수능 점수로 최저학력기준을 맞춰야 하는 수험생들은 자신이 선택한 수준별 시험에서 몇등급을 받을지 27일 성적 통지 때까지 초조하게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성적 통지일 전인 11∼15일 수시모집 2차 원서접수를 하는 대학도 많아 수험생들은 수시에 지원할지, 성적을 보고 다음 달 19일부터 원서를 받는 정시모집에 지원할지 결정해야 한다.

이지현기자 jhlee@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