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사상 최대 3천432억3천만弗 기록

전월比 63억弗↑… 넉달연속 상승세 월간 증가액도 2년만에 최고치 경신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4달 연속 기록 경신 행진을 이어나가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월간 증가액도 지난 2011년 10월 75억9천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2년만에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한국은행은 10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3천432억3천만 달러로 종전 사상 최대치였던 9월 3천369억2천만 달러보다 63억 달러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4월 3천288억 달러에서 6월 3천264억4천만 달러로 줄어든 외환보유액은 7월부터 다시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은 외화자산 운용수익 증가와 유로화 등의 강세로 기타통화 표시 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외환보유액 구성별로는 유가증권이 3천107억5천만 달러(90.5%)로 지난달보다 5억1천만 달러 줄었지만 예치금은 216억6천만 달러로(6.3%) 68억1천만 달러 증가했다. 또 금이 47억9천 만달러(1.4%)로 나타났고,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34억9천만 달러(1.0%), IMF포지션 25억3천만 달러(0.7%)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한국은 외환보유액 규모 순위에서 지난달과 같은 세계 7위에 올랐다. 1위는 3조6천627억 달러를 보유한 중국이 차지했고 일본(1조2천734억 달러), 스위스(5천300억 달러), 러시아(5천226억 달러), 대만(4천126억 달러), 브라질(3천687억 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미국 재무부는 의회에 제출한 경제ㆍ환율 정책 반기보고서에서 원화가 저평가됐다며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필요 이상으로 많다고 불만을 제기했지만, 한국 정부는 기존의 환율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