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국민 불안 커지는데… ‘GAP 인증’ 실적은 저조
소비자 인식 낮아, 지난해 인증률 고작 3.2%
절차 불편하고 홍보 부족… 농가들 참여 외면
먹거리 안전을 위해 GAP(농산물우수관리제) 인증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지만 인증 실적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 등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생산에서 유통까지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지난 2006년 GAP 제도를 도입했다. 농산물의 종자부터 재배, 수확, 포장, 유통까지 전 단계에 걸쳐 농약이나 중금속 등 기준치 초과 여부, 농업관련시설 안전관리 여부 등을 점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농식품부는 농산물 개방이 점차 확대되고 먹거리에 대한 국민 불안이 커지면서 전체 농산물 대비 GAP 인증 비율을 2015년 10%, 2017년 30%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지난해 인증을 받은 농가는 4만200농가에 인증면적은 5만5천㏊로 인증률이 3.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은 올해 9월 말 기준 7천207농가에 9천101㏊가 인증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시행된지 7년이 지났음에도 인증실적이 낮은 이유는 인증받기 위한 노력과 비용에 비해 소비자 인식이 여전히 낮아 농가들의 참여의지가 크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GAP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작물 재배 이력 등록, GAP 시설 지정, 인증 등 3단계를 거쳐야 한다.
각 단계를 담당하는 기관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관원 지원, 인증기관 등으로 모두 다르다. 또 인증농가는 GAP 이력추적관리와 농산물 이력추적관리제도 양쪽에 농산물 생산 이력을 등록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인증 뒤에도 규정된 농법과 정부가 허가한 농약·비료 사용, 영농일지 작성 등 시간적·금전적 비용이 많이 들어가지만 농가로서는 실질적인 혜택을 보고 있지 못하다는 목소리가 대부분이다.
용인에서 오이, 토마토 등 시설재배를 하고 있는 박모씨(58)는 “지난해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았지만 GAP인증 추진은 망설이고 있다”며 “친환경농산물인증은 일반농산물보다 값도 더 받을 수 있고 소비자 반응도 좋은데 GAP는 덜 알려지고 가격도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불필요한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진입 장벽을 낮추고 소비자 홍보를 강화하면서 판로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우리 농식품의 전반적인 안전관리수준 제고를 위해서는 반드시 GAP 확대가 필요하다”며 “인증은 보다 간편하고 쉽게 받도록 해 농가 부담을 줄이고 대신 위해요소 관리는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종합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