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일부 사립고교 수십만원 들여 일본ㆍ중국行
주변 학교 학생들 부러움ㆍ박탈감 교차 ‘교육 악영향’
돈없어 못가는 재학생들 눈치… 교실내 위화감 조성
“학교 사이에도 빈부격차가 있나요?”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L씨(51·여)는 최근 겨울방학에 외국여행을 가자는 딸의 성화에 당황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딸은 친구 A군(16)이 수학여행으로 중국여행을 다녀온 이후부터 해외여행을 보내달라며 투정을 부리기 시작했다.
A군이 재학 중인 인천시 연수구의 B 사립고는 지난 23일부터 26일까지 중국으로 수학여행을 다녀왔다.
L씨는 친구를 부러워하는 딸을 보며 어려운 형편에 해외여행을 보내주지 못해 답답하기만 한 심정이다.
L씨는 “주변에 다른 학생이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것만으로도,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은 괜한 빈부격차만 느끼게 될 뿐”이라며 “학교는 주변 학교의 학생들도 고려해 수학여행 장소를 선정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강화 C 사립고를 다니는 K군(16)은 어려운 집안사정이 원망스럽다. 지난 5월 C 사립고가 선정한 수학여행 장소 7곳 중 K군은 일본 대마도에 가고 싶었지만, 수십만 원의 비용을 부담하기 어려워 국내 코스 중 한 곳을 신청해야 했기 때문이다.
K군은 “초등학생 때 좋은 신발을 신은 친구를 보며 느꼈던 상대적 박탈감을 수학여행을 통해 다시 느끼게 됐다”며 “다양한 테마의 수학여행도 좋지만, 위화감을 느낄 학생을 위한 배려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인천지역 일부 사립고가 해외 수학여행을 다녀오면서 인근 학교의 학생은 물론 학교 내 학생 간 위화감이 형성되고 있다.
B 사립고는 63만 6천900원의 비용으로 중국 수학여행을 다녀왔으며, C 사립고는 46만 9천500원의 비용으로 일본 수학여행을 다녀왔다.
이밖에 부평구 D 사립고를 비롯해 중구 E 사립고도 70만~100만 원의 비용을 들여 해외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일부 사립고가 해외 수학여행을 다녀오면서 어려운 형편의 학생과 학부모들이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대해 B 사립고 관계자는 “수학여행 장소를 선정하면서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을 충분히 받았다”며 “위화감을 조성할지 모른다는 우려는 어느 정도 이해하지만, 교육의 취지로 좋게 해석해 달라”고 말했다.
C 사립고 관계자는 “학생과 지도교사가 장소와 코스 모두 선정했다”며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준비한 수학여행이기에 위화감을 조성한다는 등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