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지역 어린이집 '안전 사각'

광명지역 어린이집이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지정 대상에서 제외돼 어린이교통안전 ‘사각지대’로 노출, 교통사고가 우려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광명시는 국·공립 어린이집의 경우 스쿨존을 지정해 설치하고 있지만 민간(사립) 어린이집의 경우 스쿨존 설치를 해주지 않고 있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29일 시에 따르면 광명지역에 등록된 어린이집은 396개에 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국·공립 24개, 민간 100개, 가정 261개, 기타 법인 7개 등이 등록돼 있다. 이들 어린이집에서 교육 및 보육을 받고 있는 아동들만 9월말 현재 1만1천3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쿨존이 설치된 곳은 광명지역 전체 54곳 가운데 어린이집의 경우 14곳에 설치돼 있다. 그러나 14곳 모두 국·공립 어린이집으로 한정돼 있고 민간이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단 한 곳도 스쿨존으로 지정되지 않아 어린이교통사고 안전사각지대로 전락하고 있다.

민간 어린이집 인근 도로가 스쿨존으로 지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현행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 규칙이 교육기관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하면서 보육시설인 어린이집은 설치 대상에 배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100인 이상 보육시설만 스쿨존 설치가 가능하도록 규정, 대부분의 지역 내 어린이집은 소규모 운영되고 있어 스쿨존 설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학부모 김모씨(35·여)는 “6살 된 딸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에서 통학 차량을 운행하고는 있지만 대로변에 위치해 있어 항상 걱정스럽다”면서 “국·공립 뿐만 아니라 위치와 규모 등을 감안해 민간 어린이집도 스쿨존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숭월 광명시 사립어린이집 연합회장도 “그동안 수 차례 걸쳐 아이들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시에 스쿨존 설치를 요구했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면서 “아동들의 안전을 고려해 보육시설이라 하더라도 스쿨존 설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어린이집 스쿨존 설치는 법적 뒷받침이 없어 사실상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명=김병화기자 bh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