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경제자유구역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도약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15일로 개청 10주년을 맞았다.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 국가 도약’이라는 특명을 안고 2013년 출범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그동안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며 ‘대한민국 대표 경제자유구역’으로 자리매김했다. 개청 10주년이라는 전환점을 맞은 인천경제청은 이제 신성장 거점화, 국제기구 도시화, 그린시티 등 3대 핵심 전략을 토대로 ‘글로벌 네트워크 허브’를 구축해 세계 3대 경제자유구역으로 도약하고 있다.

■ 10년 성과… 외자유치 날개를 달다

정부는 지난 2003년 8월 11일 인천 송도(53㎢)·영종(138㎢)·청라(18㎢) 3개 지구 209㎢를 국내 최초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고시했고, 3개월 뒤인 10월 15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을 개청했다.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 동북아 비즈니스를 선점할 과제를 안고 출범한 IFEZ은 지정 이듬해 100만 달러(11억 원)에 불과했던 외국인 직접투자(FDI) 실적이 지난해 20억 6천900만 달러(2조 2천억 원)로 증가했고, 올해 8월까지 FDI 총 누적신고액은 50억 6천만 달러(5조 4천억 원)에 달한다. 인천경제청은 2020년 개발을 마칠 때까지 FDI 100억 달러(10조 7천억 원)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해 10월에는 ‘환경부문 세계은행’인 GCF(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을 유치하면서 GCF와 시너지가 기대되는 세계은행(WB) 한국사무소와 150개 국가가 참여하는 국제기구인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사무처 유치에 성공했다. 이어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황해광역해양생태계(YSLME) 등의 유치가 진행되는 등 글로벌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송도 글로벌대학캠퍼스에는 한국 뉴욕주립대가 문을 열었고 내년 3월 미국 조지메이슨대와 유타대, 벨기에 겐트대 등이 개교한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으면서 코오롱 글로벌·워터앤에너지, 삼성바이오로직스, 동아제약, 포스코, 대우인터내셔널 등 국내 대기업과 BMW 드라이빙센터, 앰코테크놀로지 등 글로벌 유수 기업의 유치는 물론 국내외 정부·기관·기업들의 벤치마킹도 잇따르고 있다.

■ 향후 과제… 외국 특구의 도전을 넘어

인천경제자유구역이 대한민국 대표 경제특구로 발전을 지속하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중국 정부는 기존 경제특구보다 경제자유화와 개방수준이 훨씬 높은 상하이 자유무역지구를 세계적인 금융·서비스 산업 중심지로 키운다는 목표 아래 지난 10월 1일 문을 열었다.

외국 자본이 독자적으로 은행·병원·테마파크를 세울 수 있는 것을 비롯해 금융·해운·통신·사업서비스·교육분야에서 혁명이나 다름없는 이번 개방 조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위기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일본,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권 국가도 자국 내 경제특구를 만들고 글로벌 기업 유치에 나서면서 국외 비즈니스 선점을 위한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경기불황은 투자 위축과 재정난을 불러와 경제자유구역 개발속도에 지장을 주고 있다. 원래 오는 2020년까지 경제자유구역 사업을 마칠 계획이었던 인천경제청은 올 상반기까지 개발진척도가 45.2%로 다소 저조하자 사업 기한을 2년 늘려 잡았다.

문제는 소비와 투자 부진에 따른 저 성장세와 슬로모션형 세계 경기불황이 장기간 지속한다는 데 있다. 여기에다 투자가 송도에만 몰리면서 청라국제도시와 영종지구의 개발이 더딘 상황이다.

인천경제청은 이 같은 여건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신성장 거점화·국제기구 도시화·녹색도시’라는 3대 핵심 전략을 수립했다.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서비스산업 유치를 확대하고, 국제기구 유치와 외국인 정주·경영 환경을 개선하는 녹색도시 조성 등 차별화된 경제특구를 만들어 갈 방침이다.

이종철 인천경제청장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유치로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 인천경제자유구역을 대한민국 서비스 산업의 전진기지로 만들겠다”며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