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기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액은 2천57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천237억원에 비해 15.3% 증가했다. 또 적발인원도 지난해 같은 기간(4만54명)에 비해 4.7% 증가한 4만1천953명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허위ㆍ과다 사고 적발액이 전체의 71.1%인 1천834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고의사고(410억원, 15.9%)와 피해 과장(138억원, 5.3%)이 그 뒤를 이었다.
허위ㆍ과다사고의 유형은 사고내용조작(439억원, 17.0%)과 음주·무면허운전(317억원, 12.3%), 운전자 바꿔치기(263억원, 10.2%) 등이 있었다. 또 보험 종류별로는 자동차 보험(1천436억원, 55.7%)과 장기손해보험(682억원, 26.4%), 보장성 생명보험(328억원, 12.7%) 등의 순으로 사기 적발건수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40대(1만1천413명, 27.2%), 30대(1만444명, 24.9%), 50대(9천970명, 23.8%) 순으로 적발됐으며, 60대(3천9명)와 70대(624명)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8.8%와 44.8% 급증해 눈길을 끌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 허위·과다 사고가 많이 적발됐으며 실제 운전을 하는 운수업종사자의 사기도 크게 늘었다”면서 “특히 70대 노인이 늘어나는 등 연령별로 보험사기가 평준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감원은 앞으로 검찰, 경찰, 국민건강보험공단 등과의 협조 강화를 통해 보험사기 근절에 주력할 방침이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