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상생협력 기금출연 약속은 '거창', 실제 이행은 '저조'

대기업들이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상생협력 기금출연을 약속했지만 실제 이행률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박완주 민주당 의원실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53개 대기업, 13개 공기업, 10개 중견기업 등 82개 동반성장 대상 기업이 2011년부터 상생협력 출연금으로 약정한 금액은 총 7천485억 원이다.

그러나 최근까지 모인 금액은 1천907억 원(25.5%)에 불과했다. 특히 이 중 중소기업에 지원된 돈은 1천59억 원에 그쳤다.

기업별로는 포스코가 2천376억으로 가장 많은 출연금을 약속했지만 실제 3년간 내놓은 돈은 295억 원(12.4%)에 불과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587억 원을 약정한 뒤 51억 원, 삼성전기는 246억 원 중 89억 원, LG전자는 93억 원 중 12억 원, 현대중공업은 190억 원 중 11억 원을 출연한 게 전부였다.

지난해에는 현대자동차가 143억 원을 약정해 현재까지 33억 원을 출연했으며 삼성SDI는 75억 원 가운데 20억 원, 기아자동차는 66억 원 중 16억 원만 출연했다. 출연 약속을 모두 지킨 업체는 삼성전자(1천12억 원)가 유일했다.

또 포스크에너지는 30억 원의 출연금을 약속했지만 올해 1억 원을 내놓았고, 포스코ICT도 30억 원 중 1억 원, 포스코강판은 28억 원 중 6천만 원, 포스코엠텍은 22억 원중 4천만 원, 한화케미칼은 25억 중 2억5천만 원을 출연했다.

약정 출연금을 한 푼도 내지 않은 업체도 19곳이나 있었다. 대우조선해양, 포스코특수강, 현대삼호, 현대미포조선(이상 약정액 30억 원), 한화(25억 원), 포스코플랜텍(18억원), 대림산업(1억 원) 등이다.

공기업도 출연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한국전력공사가 2011년 300억을 약속했지만 21억 원만을 내놨고, 한국수력원자력과 동서발전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50억 원씩 약속했지만 11억~34억 원을 출연한 게 고작이었다.

이런 이유로 현재 산업부가 추진하고 있는 ‘산업혁신운동 3.0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겠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난 6월 시작된 산업혁신운동 3.0은 대기업이 자금을 대고 1차 협력사가 2·3차 협력사의 공정·경영·생산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것이다. 11개 대기업 53개 계열사가 참여해 2017년까지 총 2천55억 원을 내놓기로 약정한 상태다.

박완주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동반성장정책이 변죽만 울린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무늬만 바꾼 박근혜 정부의 산업혁신운동 3.0이 대기업의 호응을 받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라고 지적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