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사업투자 ‘화근’ 부실 1조 육박 농협·수협은행, 재무 건전성 ‘빨간불’

여신비율 나란히 2.3% 기록… 특수銀 중 부실채권 최대

부동산 PF대출 연체 등 위험 초래 ‘여신심사 점검’

농협과 수협에서 올해에만 1조원에 가까운 부실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과 수협은 나란히 2.3%의 여신비율(부실채권비율)을 기록, 특수은행 가운데 가장 많은 부실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재무 건전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수협중앙회와 금융감독원이 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이운룡 의원(새누리당)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농·수협은행의 부실채권은 지난 6월말 기준 3조9천12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9천269억원(31.1%) 증가했다. 농협의 부실채권이 지난해보다 8천564억원(32.6%) 더 많은 3조4천860억원 규모였으며, 수협의 부실채권은 지난해보다 705억원(19.8%) 증가한 4천260억원이었다.

특히 농협과 수협은 특수은행의 평균(1.68%)을 웃도는 2.3%의 여신비율을 기록, 전체 은행중 두번째이자 특수은행 중 가장 많은 부실채권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농협과 수협에서 막대한 규모의 부실이 발생한 것은 사업타당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없이 무리한 대출이 이뤄졌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농협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무리하게 투자했다가 화를 입었다.

실제 농협의 부동산 PF 대출잔액(2조8천313억원) 중 무려 44%에 달하는 1조2천462억원이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민·우리·신한·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고정이하 여신(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율)의 합계(1조1천630억원)를 웃도는 수치다.

또 STX 등 부실 재벌그룹에 대한 무리한 대출 또한 막대한 규모의 부실을 초래한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수협은행 부실은 판교 충성 교회가 경매 유찰로 회생절차에 돌입함에 따라 280억원의 대출금을 상환받지 못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운룡 의원은 “농·수협은행이 대출을 취급할 때 사업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충분히 한 것인지 의심스럽다”며 “농협과 수협의 부실은 농어민에 대한 지원 축소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여신심사 시스템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