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부도업체 10곳 중 9곳 ‘中企’

김한표 의원 분석, 부도액 2008년比 1.5배↑ 42억여원

지난해 부도를 낸 기업 10곳 중 9곳이 중소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로 중소기업이 위기에 놓여있는 만큼 정부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한표(새누리당)의원이 중소기업청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부도업체 수(개인사업자 제외)는 890개로 이 중 99.3%인 884개가 중소기업이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당시와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줄었다. 금융위기였던 2008년 1천886개에서 2009년 1천364개, 2010년 1천142개, 2011년 967개, 2012년 890개로 5년 연속 감소 추세다. 2009∼2011년 부도업체 가운데 중소기업의 수는 1천379개, 1천141개, 964개로 전체의 98.9∼99.9%를 점하고 있었다.

부도 기업 수는 줄었지만 부도 액수는 오히려 커졌다. 2008년 업체당 부도액수(개인사업자 포함)는 27억9천200만원이었으나 지난해는 42억900만원으로 1.5배가량 늘었다. 지난해 부도업체를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38.8%), 제조업(36.8%), 건설업(19.3%) 순이었고, 부도업체 중 지방 소재 기업은 64%로 3분의 2에 육박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 일자리의 80% 이상을 중소기업이 만들어 내지만 중소기업의 현실은 막막하기만 한 실정”이라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중소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다 급기야 부도로 이어지는 만큼 사전 모니터링·컨설팅 등 정밀한 부도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