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CCTV 증설 사업전환 시민들 “우리동네 찬밥” 오해

박근혜대통령 공약따라 BTL→단계적 재정사업 
5년간 연차적으로 설치 市 홍보부족 불신 키워

부천시가 ‘범죄로부터 안전한 부천’을 만들고자 추진 중인 부천 전역 CCTV 설치 사업을 민간투자(BTL)사업 방식에서 국·도비 보조를 받는 단계적 재정사업으로 추진을 전환한 가운데 CCTV 설치가 지연되면서 지역별 차별이라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때 5년간 단계적 추진이 불가피 하지만 가용예산이 부족한 시로서는 시 예산 측면에서 300억원 정도 예산 절감효과를 볼 수 있어 시민의 이해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4일 시에 따르면 시는 4대악 근절 및 취약계층인 여성과 어린이 안전 확보와 시민의 안전과 관련, CCTV 수요를 조기에 충족하기 위해 지난해 4월 ‘CCTV 설치 입지선정 용역’을 통해 민간투자(BTL) 방식으로 1천15개소에 4천164대, 총 545억원을 들여 10년간 매년 55억원의 비용을 부담하는 사업을 추진하려 했다.

그러나 시는 지난해 말 박근혜 정부의 정책공약 사항에 CCTV 확대 설치가 반영됨에 따라 국·도비 보조금 지원이 증가할 것을 예상해 민간투자 방식의 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CCTV 설치사업으로 총 200개소 723대를 계획하고 전체 사업비 58억800만원 중 시비 39억6천400만원, 국·도비 18억4천400만원을 들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는 올해를 시작으로 2017년까지 5년간 전체 1천15개소, 4천164대의 CCTV 설치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의 홍보 부족으로 시민들은 시의 5년간의 단계적 CCTV 설치 계획에 대해 알지 못한 상황에서 CCTV 설치가 지연되자 지역 차별이라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민의 안전을 생각해 민간투자사업으로 한 번에 설치하려 했지만 민간투자사업 진행 시 국·도비 지원이 안되기 때문에 5년간 재정사업으로 전환했다”면서 “적극적인 홍보가 미흡해 시민들이 오해하고 있어 홍보를 강화하고 CCTV 설치가 시급한 곳은 CCTV 설치 전까지 블랙박스를 이용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천=김종구기자 hightop@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