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부평구·계양구 등 전입자 < 전출자 ‘주민썰물’ 세수감소 재정난 악순환
인천 구도심 지역의 인구 유출이 심각하다.
인구가 줄면 해당 지자체는 재정이 악화하는 것은 물론 도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지만, 이들 구도심 지자체들은 대책 마련에 손을 놓고 있다.
16일 인천시와 일선 기초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인구는 지난 2005년 1만 965명 늘어난 것을 시작으로 2007년 2만 2천721명, 2008년 9천419명, 2011년 2만 8천809명, 지난해 2만 7천794명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남구 등 구도심 지역의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타지역에서 이사 오는 전입자 수보다 지역을 떠나는 전출자가 많다.
인천의 대표적인 구도심인 남구는 지난 2003년 247명이 감소한 이후 2005년 1만 1천623명, 2011년 7천830명, 지난해 5천39명, 올해 8월 말까지 1천239명 등 모두 4만 2천459명이 줄었다. 지난 10년간 남구지역 전체 인구의 10%가 감소했다.
부평구도 지난 2007년(5천715명)부터 줄기 시작해 2009년 8천975명, 2011년 9천181명 지난해 4천709명 등 3만 8천659명이 줄어드는 등 인구 감소추세가 가파르다.
동구와 계양구도 지난 2011~2012년 각각 3천605명과 9천800여 명의 인구가 줄어드는 등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지자체로서는 인구가 감소하면 가뜩이나 열악한 재정이 더욱 악화될 우려가 커진다. 전출자 수만큼 전입자 수가 늘어야 하지만 전입자가 적어 취·등록세가 덜 걷히고, 주민이 줄어드는 만큼 각종 세입이 줄기 때문이다. 특히 인구(가구) 감소분만큼 빈집이 늘어나면서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는 등 도시 경쟁력도 떨어진다.
이런데도 대다수 기초지자체는 인구 감소에 따른 대책은 물론, 인구 유입을 위한 뚜렷한 정책 하나 마련하지 않은 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