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을 위한 토론회… 정부 결단 촉구 ‘한목소리’
인천시 부평·계양구, 경기도 부천·김포지역 자치단체장과 정치인, 전문가들이 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을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굴포천 인근 지역 지방단체장, 국회의원, 시의원, 전문가 등은 9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이날 현재 지방하천인 굴포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돼 통합관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 부평에서 발원해 계양구, 경기도 부천·김포시, 서울 강서구 등 15.31㎞를 지나는 굴포천은 5개 기초지자체를 거치면서 하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수질이 5~6등급에 달할 정도로 오염이 심각하다.
특히 경인아라뱃길 사업 이후 굴포천 유량이 경인아라뱃길로 유입되지 않아 굴포천 평수위가 상승해 호우 시 침수피해 위험성이 높아지고, 매년 물고기 폐사가 발생하는 등 생태환경 파괴도 심화하고 있다.
하천법 7조는 유역면적 50㎢ 이상 하천 중 인근 도시 인구 20만 명 이상, 범람구역 인구 1만 명 이상일 경우 국가하천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해 유역면적 131.75㎢, 인근 도시 인구 214만 명, 범람구역 인구 16만 명인 굴포천은 이를 충족시킨다.
발제를 맡은 김규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린리버연구단장은 “굴포천은 수도권의 전형적인 도심 하천으로 오염원 차단, 하폭 유지, 생태환경 조성 등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국가하천 지정 및 수변 생태공원을 조성해 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한구 시의원은 “굴포천 수질이 급속도로 나빠지는 만큼 근본적으로 국가하천으로 지정해 물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단기적으로는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시설을 보완해야 한다”며 “굴포천 유역 면적이나 인구가 국가하천 지정 기준에 충족한 만큼 정부는 하루빨리 국가하천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