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화된 경기침체에 임금체불 사업장 급증
도내 한 제조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모씨(43ㆍ여)는 최근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3개월째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김씨는 “당장 월세와 가스비가 밀려 생계비 융자를 신청했는데, 1년 후 갚을 길이 막막하다”며 “일을 그만둘 수도 없고 임금을 받지 못하는 기간이 늘어나면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할 지 걱정만 한가득”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임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사업장이 늘어나면서 김씨처럼 임금을 받지 못한 도내 근로자들의 임금체불생계비융자 신청이 급증하고 있다. 임금을 받지 못한 서민들은 매달 지출해야 하는 고정비 등을 마련하지 못해 추석을 앞두고 생계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9일 근로복지공단에 따르면 1개월 이상 임금이 체불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임금체불생계비융자 신청건수는 8월 말 현재 2천80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천826건) 보다 53%나 급증했다. 경기지역의 경우 646건(36억620만원)으로 지난해 488건(22억5천350만원)보다 32.3% 증가했다. 또 서울(609건), 인천(288건), 경북(164건), 전북(116건), 충남(79건), 충북(79건), 부산(67건), 전남(18건), 대구(60건), 대전(49건), 광주(59건), 제주(28건), 강원(66건) 등 13곳의 타 시ㆍ도와 비교해서도 가장 많았다.
이는 도내 영세 기업과 취약 업종들이 자금사정에 어려움을 겪어 근로자들의 임금 지급을 미루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 경영악화로 월급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소규모ㆍ영세 사업장이 늘면서 앞으로 생계비융자 신청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 집계 결과 올해 7월 말까지 사업장 체불임금은 7천105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2.7%늘었다. 규모별로도 5인미만 사업장 22.3%, 5~30인 미만 42.5%, 30~100인 미만 18%, 100인 이상 17.2% 등으로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서민들의 생활은 더욱 팍팍해질 것으로 보인다.
근로복지공단 관계자는 “융자 한도가 지난해 700만원에서 올해 1천만원까지 늘고 생계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들이 융자제도를 적극 이용하면서 신청이 급증했다”며 “특히 올해는 임금체불사업장이 늘면서 생계비융자 신청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