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 기쁨도 잠시… 치솟는 인건비 ‘농가 한숨’

“지난해 5만원 하던 일당, 올해는 5만5천원 껑충”
경지규모 클수록 고용 비중 ↑ 최근 4년 농업임금 상승률 7%

안성에서 2.6㏊ 규모로 배와 포도 농사를 짓고 있는 A씨(63)는 요즘 수확의 기쁨보다 인건비 걱정이 앞선다. 지난해 식사제공을 포함해 5만원이었던 일당이 올해는 5만5천원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간 일당은 해마다 5천원씩 크게 상승했다.

한창 수확 중인 포도는 5명 이상을 고용하던 예년과 달리 2명만 고용하고 온 가족이 매달려 수확작업을 거들고 있다. A씨는 “인건비 비중이 너무 커지다보니 주위에서는 아예 농사 면적을 줄이는 경우도 허다하다”고 토로했다.

농가의 규모가 커지면서 농작업 인력을 고용하는 농가들이 늘고 있지만 해마다 가파르게 오르는 인건비 탓에 농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일 통계청과 농협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15만 농가 중 39.3%(45만여가구)가 고용인 이용 경험이 있고, 이 가운데 85%가량이 1개월 미만의 단기고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인이 있는 농가의 비중은 과수농가의 경우가 55.3%로 가장 높고, 논벼와 식량작물 농가가 각각 32.8%, 30.0%였다. 대체로 경지규모가 클수록 고용인 이용비중이 높고 고용기간도 긴 경향을 보였다. 또 0.5㏊미만 농가의 경우 93.2%가 1개월 미만의 단기고용인데 비해, 3.0㏊이상의 농가의 경우는 1~3개월 고용이 24.9%, 3~6개월이 3.9%, 6개월 이상이 3.4%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농촌 임금노동자의 임금수준은 꾸준히 상승해왔으며 2008년 이래로 상승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2008년부터 지난해 농업노동임금 연평균 상승률은 7.0%로 소비자물가상승률 3.3%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농작업 근로자 수급안정 및 고용안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김대현 농협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농작업 근로자 고용은 농번기라는 제한된 기간에 단기고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고용시장의 안정성이 낮고 수급불안정 요인이 상존하기 때문에 적절한 수급관리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추진 중인 농작업 근로자 보장보험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 것도 농가의 부담을 낮출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