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줄 새는 인천 상수도, 지난해만 무려…

인천 상수도 한해 185억원 땅속으로 줄줄샌다
지난해 2천7백여만t 사라져 누수율 7.8%… 서울의 2.5배 노후 송수관 교체 ‘발등의 불’

인천시 상수도가 지난 한해 동안 2천734만 5천여t이 누수되 185억 1천639만 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인천시의 지난해 상수도 누수율은 7.8%를 기록해 생산원가 677.14원 대비 연간 185억여 원이 땅속으로 흘러 버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누수율은 정수장에서 생산된 상수도가 각 가정이나 기업 등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관 노후 등으로 말미암아 누수 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인천 누수율은 전국 지자체 평균 누수율 10.4%보다는 낮은 편이지만, 서울(3.1%)과 경기도(6.9% 2011년 기준)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상수도의 누수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상수도관의 노후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지난해 인천에서 모두 6천336건의 누수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 중 4천921건이 노후현상과 연관이 있는 관로 부분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올해 173억 원을 들여 노후관로 47.7㎞를 교체하는 등 매년 200억 원을 노후관로 교체 사업에 투입하고 있지만, 현재 추가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된 노후 대상 관로만 22㎞에 달하는 실정이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상수도 누수율을 1%p 줄이면 연간 22억 원가량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상수도관의 누수는 노후 정도와 더불어 관의 재질 및 부식 정도 등이 합쳐져 발생해 직접 다니면서 탐지해 파악하고 있다”며 “교체가 필요한 관을 지속적으로 찾아내 누수율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