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활동 인구 절반은 ‘中企人’ 주부·고령자 등 고용증가 한몫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는 ‘여전’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2000년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다. 산업구조가 바뀌고 주부, 고령자 등 노동공급 패턴이 변하면서 중소기업의 고용효과가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26일 통계청과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국제조세협회 등에 따르면 2011년 경제활동인구 2천509만9천명 중 중소기업 종사인원은 1천262만7천명으로 50.3%에 달했다. 경제활동인구 대비 중소기업 종사자 비율이 2000년 이후 통계치로 5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도별로 보면 지난 2000년 39.2%에서 2007년 46.8%로 급등했고 2008년 47.1%, 2009년 48.2%, 2010년 49.6%에 이어 2011년 절반을 넘어섰다. 또 대기업을 포함해 우리나라 전체 사업체 중 중소기업이 고용의 86%가량을 담당하고 있었다. 지난 2011년 전국 사업체 조사에서 중소기업 종사자는 1천262만7천명, 대기업 종사자는 190만7천명으로 전체 사업체 종사자 1천453만4천명 중 중소기업 종사자비중이 86.9%에 달했다.
이처럼 한국의 중소기업 종사자가 많아진 것은 산업구조의 변화, 고용 패턴 변화 등이 요인으로 꼽힌다.
산업구조가 대기업 위주의 제조업에서 중소기업 위주의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뀌면서 중소기업 종사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늘어나는 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임금은 2003년 60.9%에 달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 54.6%로 급감했다.
김주미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격차를 정책적으로 임금 줄이기 보다는 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