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도 여장남자? ‘위장 여성기업’ 늘었다

공공조달시장 여성기업 제품 구매 의무화 앞두고

실 소유자 ‘남성’ 명의만 ‘여성’

올 2천여곳 중 11% ‘짝퉁’ 적발

내년부터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의무구매화가 시행되면서 여성기업을 가장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여성경제인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여성기업 확인서 발급을 신청한 2천605개 기업 중 11.2%인 291개 기업이 여성기업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에는 여성기업 확인을 신청한 2천968개 기업 중 12.6%인 374개사가 위장 여성기업으로 신청이 반려됐다.

이처럼 위장 여성기업이 늘어난 까닭은 정부가 지난 7월 ‘여성기업 제품에 대한 공공기관의 우선구매 확대를 위한 법률 및 시행령(여성기업지원법)’을 개정하면서 그동안 권고사항이었던 공공기관의 여성기업제품 구매가 내년부터 의무화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개정된 법률안에 따라 공공기관은 내년부터 중소기업으로부터 조달하는 물품·용역 구매총액의 일정 비율(물품·용역 5%, 공사 3%)을 여성기업 제품으로 채워야 한다.

현재 여성기업 자격으로 공공기관 조달에 참여하는 기업은 중기청에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여성경제인협회로부터 여성기업 확인판정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 소유자는 남성인데 대표 명의만 여성인 ‘위장 여성기업’ 때문에 여성경제인연합회는 현장 실사에 나서 위장 여성기업을 솎아내고 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