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개성공단 판로 마련”… 입주기업 “원청도 협조해야”

전용 매장·특별 상담회 추진 등 부처별 다양한 지원 방안 검토 
입주기업, 반쪽짜리 지원책 우려 “금전보상 없으면 사실상 무의미”

정부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만든 제품에 대한 판로확보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입주기업들이 실감할 수 있는 대책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은 정부의 지원책이 생색내기에 그치지 않으려면 실효성있는 실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산업통산자원부와 중소기업청 등 관계부처는 지난 2일 오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판로지원 대책 설명회’를 개최, 부처별로 검토 중인 다양한 지원방안을 내놨다. 산업부는 입주기업들이 완제품을 적정가격에 납품, 자체 판매할 수 있도록 원청업체에 협조를 요청하고 입주기업들과 거래관계를 유지하도록 당부할 계획이다. 의류, 식품 등 완제품의 판매처 확보를 위해 대형 유통업체와 특별 구매상담회개최도 추진한다.

또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제품 전용 매장과 주요 철도역 매장에 입주기업 완제품이 입점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조달청은 수요기관이 입주기업의 물품을 구매토록 권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 롯데쇼핑은 이 날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판로확보를 위해 롯데마트 등에 개성공단 입주기업 전용매장을 설치하기로 산업부와 합의했다. 이르면 이달 중순부터 각 점포 내 특설매장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의류상품 등이 판매될 예정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부도 위기를 막을 수 있는 최소한의 방안이 마련돼 다행이라면서도 정부의 지원책이 제한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경우 대부분 하청을 받아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원청업체의 허락없이는 제품을 마음대로 처리할 수 없기에 자금지원 및 원청업체에 대한 강한 설득 등이 동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안양에서 전자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입주기업 대표 A씨는 “완제품이 아니라 부품을 생산하는데 우리 제품을 대형마트에서 팔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다른 업체로 넘기려 해도 물품이 맞지 않아 불가능하다”며 “정부의 금전적인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이상 전자 제조업체에게 지원책은 사실상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부천에서 의류 업체를 운영하는 B대표도 “제품에 이미 원청 업체의 로고가 찍혀있어 원청업체 허락없이 제품을 마음대로 싸게 처리할 수 없다”며 “정부가 원청업체에 권고하는 수준에 그칠 게 아니라 강하게 설득해 입주기업 제품이 전용매장에서 판매되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는 합동설명회를 통해 수렴된 기업의 의견을 반영해 이번 주내에 지원방안을 확정하고, 개성공단 입주기업 110개사가 총 2천723억원 규모로 신청한 경협보험금도 지급할 예정이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