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인천 실내 & 무도 아시아 경기대회
‘평화의 숨결, 아시아의 미래’
2013년 45억 아시아인을 뜨겁게 달군 제4회 인천실내&무도(武道) 아시아경기대회가 지난 6월 29일 막을 올렸다.
44개국에서 참가한 선수 1천664명과 임원 786명 등 총 2천450명의 선수단은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화려한 개막식을 열고 8일간의 열전에 들어갔다.
이번 대회는 갈수록 비대해지는 아시안게임의 규모를 줄이고자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가 아시안게임에서 개최되지 않는 종목을 따로 편성해 치렀다.
그동안 OCA는 실내경기 종목과 무도 종목을 각각 실내아시아경기대회, 아시아 무도대회 등으로 따로 치러 왔으나 올해부터는 두 대회를 병합해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가 탄생했다. 특히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을 앞둔 조직위는 이번 대회를 통해 실제 대회를 운영하는 경험을 쌓았다.
金 21개·銀 27개·銅 19개 종합 2위 역대 최고성적
내년 열릴 인천 아시안게임 전초전…성공 초석 결실
8일간의 열전, 44개국 선수 1천664명 참가
개막식은 네팔 선수단이 가장 먼저 입장해 관중의 뜨거운 환영을 받았다. 네팔은 체스(5명)와 25m 쇼트코스수영(1명)에 선수 6명을 파견했다.
12개 종목에 선수 121명, 임원 51명 등 총 172명의 선수단을 내보낸 한국선수단은 마지막 순서로 입장해 관중의 뜨거운 환영을 받았다. 25m 쇼트코스수영에 출전하는 양정두(22·인천시청)가 한국선수단을 대표해 태극기를 들었다.
무대 뒤쪽에서 성화대와 함께 등장한 최종 성화 점화자인 차유람(26·충남당구연맹)은 성화대에 불을 피워 올렸다. 성화는 대회가 끝날 때까지 주경기장인 삼산월드체육관에서 타 올랐다.
한국선수단, 12개 종목 170여명 ‘종합 2위’ 결실
실내·무도대회에 출전한 한국 대표팀은 총 금메달 21개, 은메달 27개, 동메달 19개를 수확해 종합 2위로 8일 동안의 열전을 마무리했다.
목표했던 금메달 수 23개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지만 종합 순위에서는 목표(3위 이내)를 초과 달성했다. 12개 종목에 170여명의 선수단을 꾸린 한국은 안방에서 열린 이번 대회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
2007년 마카오에서 열린 제2회 실내 아시아경기대회에서 금메달 10개 등으로 종합 4위를 거둔 것이 이전까지 한국 선수단의 최고 성적이었다.
한국은 25m 쇼트코스 수영에서 모두 8개의 금메달을 쓸어 모았다. e-스포츠에서 4개의 금메달을 휩쓸어 게임 강국의 위상을 지켰고 당구에서 3개, 킥복싱에서 2개, 바둑, 볼링, 댄스스포츠, 무에이에서 각각 1개씩의 금메달을 추가했다.
황서진, 김고은, 양정두(이상 25m쇼트코스수영), 차유람(당구)은 금메달 2개씩을 목에 걸어 메달 레이스의 선봉에 섰다.
종합 1위 중국(금 28, 은 12, 동 10)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종합 3위를 차지한 베트남(금 8개)에 크게 앞섰다.
4년 뒤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에서 만나요
아시아 44개국에서 참가한 선수 1천664명과 임원 786명 등 총 2천450명의 선수단은 지난 6일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폐회식에서 석별의 정을 나눴다.
실내·무도대회 다음 대회는 2017년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에서 열린다.
회는 중국이 금메달 29개, 은메달 13개, 동메달 10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이 금메달 21개, 은메달 27개, 동메달 19개를 수확해 종합 2위, 베트남은 금메달 8개, 은메달 7개, 동메달 12개로 3위에 올랐다.
12개 종목의 선수들이 100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기를 치르면서 그려낸 감동적인 경기 영상이 대형 화면에 상영되면서 폐회식이 시작됐다. 이어 대회의 주인공인 선수단이 개회식장에 입장했다.
화면에는 몽골인 여자 당구 선수 바야르사이칸 나란투야(19)가 이번 대회를 출전하는 동안 찍은 영상 일기가 상영됐다. 이 영상의 내레이션은 배우 안성기가 맡았다.
영상이 끝나자 가수 유승우가 부르는 노래 ‘말하는 대로’가 울려퍼졌다. 그의 노래가 끝나자마자 선수들은 뜨거웠던 대회의 추억을 떠올리며 우레와 같은 박수를 쳤다.
폐회사를 위해 무대에 오른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 김영수 위원장은 “여러분은 모두 이 시대 아시아의 영웅들”이라며 선수들을 격려했다. 이어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의 웨이지 종(중국) 명예종신부회장이 폐회를 선언하자 OCA의 깃발이 내려왔다.
이어 다음 실내무도대회를 준비하는 투르크메니스탄의 대회 조직위에 대회기가 전달됐다. 선수단은 뜨거운 박수로 다음 대회의 기대감을 표현했다. 투르크메니스탄의 대회 조직위는 자국 전통 무용 공연으로 선수들의 박수에 화답했다. 곧 8일째 타오르던 성화가 사그라졌다. 식후 행사로는 YB, 딕펑스, 톡식 등 록밴드의 공연이 펼쳐졌다.
개막식 관중석 절반 ‘텅텅’… 안방서 체면구긴 ‘아시안 잔치’
실내·무도대회가 텅 빈 관람석과 미숙한 대회 운영으로 전반적인 아쉬움을 남겼다. 내년 본 대회를 잘 치르기 위한 테스트 이벤트라고 해도 엄연한 국제 대회인데 완성도가 너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었다.
대회는 개막식부터 부실한 모습을 보였다. 정홍원 국무총리와 여·야 정당의 대표를 초청해 놓은 상황에서 관람석은 텅 비었고 애국가 제창 순서에서는 합창단 앞에 놓인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사고가 발생했다.
홍보 부족과 생소한 경기 종목 탓에 대회를 보러오는 사람도 없었다. 실내 카바디 경기에서는 전체 관람석 1천239석 중에 4.4%에 불과한 55석만이 관람객으로 찼다.
젊은이의 관심이 높은 종목이라던 e스포츠 경기도 4천166석 가운데 겨우 741석(17.7%)을 채우는데 그쳤다. 올림픽 수영 금메달리스트 박태환 선수의 팬 사인회와 당구계 스타인 김가영·차유람 선수의 출전으로 쇼트코스 수영과 당구 경기에 관객이 반짝 몰린 게 전부다.
미숙한 대회 운영으로 조직위가 현장에서 원성을 사는 일도 잦다. 쇼트코스수영과 무에이 경기 등에서 국제스포츠대회의 근접 취재 규정을 무시했다가 현장 취재진의 빈축을 샀다. 풋살 경기의 경우 경기장 2곳에서 무료와 유료로 각각 진행되는 바람에 무료인 줄 알고 유료 경기장을 찾은 이들이 발길을 돌리는 해프닝도 있었다.
송영길 시장은 “실내·무도대회 운영을 하면서 문제점이 드러나는 것을 보니 내년 아시안게임 전에 이 대회를 개최하길 잘했다는 생각”이라고 말해 대회 부실을 우회적으로 인정했다.
글 _ 배인성 기자 isb@kyeonggi.com 사진 _ 장용준 기자 jyju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