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플랜트 혁명’ ‘온배수 활용 해수담수화시설’ 시공

포스코건설, 내년 7월 준공 국내 최초로 광양제철소에 하루 3만여t 공업용수 생산

포스코건설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를 재이용하는 해수담수화 기술을 바탕으로 해수담수화 시장의 다크호스로 부상하고 있다.

18일 포스코건설에 따르면 온배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설은 외국에선 이미 상용화됐지만, 국내에선 포스코건설이 지난 1월부터 전남 광양 동호 안에 건설하고 있는 것이 최초이다.

내년 7월 준공할 해수담수화 시설은 광양제철소 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를 담수화해 공업용수로 다시 제철소로 공급하는 것으로, 하루 3만 t의 공업용수를 생산한다.

온배수는 발전소 인근 수온보다 연평균 7℃ 정도 높아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온배수의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해수담수화가 대두되고 있다.

온배수를 담수화해 재이용할 경우 해양생태계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일거양득의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건설이 국내 최초로 해수담수화 분야에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물 산업을 미래의 신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2010년부터 회사의 역량을 집중한 결과이다.

특히 해수담수화 시장 진출을 위해 사업발굴과 독자기술 확보에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지난 5월에는 웰크론한텍,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부터 해수담수화 공정 원천 특허 2건을 공동 양수받았으며, 내년 상반기까지 신기술 확보를 위해 제주도 우도에 특허기술을 적용한 파일럿플랜트를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파일럿플랜트에서 얻은 기술력과 광양 해수담수화 시설의 건설·운영 경험 등을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중동, 중남미 등 해외 해수담수화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