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나 떨고있니?”… 대기업 구조조정 여파 100여곳 ‘워크아웃’ 불가피

100여곳 이상의 중소기업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이 크게 증가하면서 하청을 맡은 중소기업도 연쇄적으로 워크아웃 또는 법정 관리 신청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채권단은 금융권에서 50억~500억원을 빌린 중소기업 중 부실 가능성이 있는 1천여곳의 업체를 평가 대상으로 선정, 신용위험 평가에 돌입했다. 대상 기업은 최근 3년간 영업 현금이 적자인 곳과 자산건전성 요주의 등급에 분류된 업체로 제조업과 부동산, 건설업종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의 경우 채권단이 97개의 부동산, 건설업종 중소기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 C등급 45개사, D등급 52개사였다. 올해는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이 40개사로 지난해 36개사보다 10%이상 늘어난 만큼 중소기업도 100여개사 이상의 C~D 등급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감독 당국이 채권단의 평가와 달리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면 중소기업 구조조정 대상은 지난 2010년 수준인 120여개까지 늘어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중소기업은 2010년 121개, 2011년 77개, 2012년 97개였다.

감독 당국은 지난 5월 기업의 일반 회사채 발행액 3조890억원 가운데 중소기업 발행액이 0.1%인 40억원에 그칠 정도로 중소기업이 유동성 어려움을 겪고 있는만큼 경기 침체기에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해 기업 부실이 커지는 것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은행별 대출 현황을 자세히 점검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확대를 유도할 방침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확대로는 대기업이 구조조정에 들어갈 때 협력업체가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받은 대출의 상환을 130일간 유예해주는 외상매출채권을 늘리고, 매출채권보험 등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 수가 늘었기 때문에 중소기업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면서 “다만 워크아웃 대상인 C급이 늘어나고 D등급은 줄어든 만큼 치명타를 입는 중소기업은 다소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