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철 음식물쓰레기는 쉽게 썩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철저한 준비없이 시행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사업은 봉투 품절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를 초래했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없어 음식물쓰레기를 무단투기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지만 시는 책임 떠 넘기기와 안일한 대응, 탁상행정 등으로 일관했다.
이에 시민들의 불만이 거세지자 시는 해당 국장이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들에게 사과했다.
시는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수요 예측을 잘못해 봉투 공급에 차질이 생겼고 추가 생산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임시방편으로 10일 동안 일반쓰레기 봉투와 함께 사용하도록 했다. 김만수 시장은 봉투대란의 책임을 묻기위해 해당 부서인 청소과에 대한 특별감사를 지시했다.
그러나 봉투 대란의 중심에 서 있는 청소과와 봉투를 위탁판매하는 부천시설관리공단은 서로에게 책임 떠 넘기기에 급급해 시민들로부터 눈총을 받고 있다.
청소과는 위탁판매하는 공단이 처음부터 사전에 소매상들이 미리 구입하도록 홍보를 철저히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공단은 시가 수요 예측을 잘못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의 책임은 청소과와 공단 모두에게 있다. 청소과는 사전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책임이, 공단은 그동안 종량제 봉투 위탁판매를 하면서 예상된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못한 책임이 있다.
무엇보다도 이번 음식물쓰레기 봉투 대란을 키운 가장 큰 원인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 회피에만 급급한 공무원들의 전형적인 탁상행정이 사태를 더욱 키웠다는 것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김만수 시장은 잘못이 있으면 ‘책임지는 공직문화’와 시키는 것에만 머물지 않고 한 발짝 더 움직이는 ‘능동적인 공직문화’를 만들어 다시는 탁상행정으로 시민이 피해보는 이같은 일이 없도록 해야할 것이다.
부천=김종구기자 highto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