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 100억이상 공공발주 ‘20건 중 16개’ 외지업체 차지
지역 경제의 큰 축을 차지하는 건설 산업이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지속된 경기침체에 이어 공공물량 및 민간물량 공사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어 업체 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형공사를 자체적으로 수주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업체도 극소수로 100억 원 이상 공사는 대부분 외지 대형건설사가 주가 된 컨소시엄으로 진행, 지역자금 유출도 심각하다.
4일 대한건설협회 인천광역시회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 100억 원 이상 공공공사 발주현황을 보면 ‘남동산업단지 사거리 고가차도 건설공사’를 비롯해 모두 20건이 발주됐다.
이 가운데 서울을 비롯한 외지업체가 16건을 수주했고, 나머지 4건만 인천업체가 수주하는데 그쳤다.
지역에서 시행되는 대형공사는 대부분 외지 대형 건설업체가 시공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자재, 장비, 건설 기술자와 근로자 고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지역 건설자금의 역외 유출도 심각한 실정이다. 대표적 예로 경북지역 업체가 수주한 ‘동양사거리 지하차도 건설공사’(250억 원)의 경우 수주, 자재, 장비 건설기술자 등 모두를 수주업체지역에서 조달했다.
더욱이 인천지역에서 타지로 진출해 대형공사를 따낼 수 있는 업체도 극히 미미해 지역 내 업체 간 지나친 출혈경쟁으로 서로 발목 잡기 형국이 지속되고 있다.
인천지역 건설업체 가운데 토목, 건축, 조경, 산업 설비 등 모든 건설 분야에서 종합 시공이 가능한 일반건설업체로 등록된 건설사는 모두 240개사다. 이 가운데 지난해 관급 공사를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한 건설사는 무려 180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건설업체들이 관급공사에 의존하는 점을 감안할 때 종합시공이 가능한 일반건설사의 75%가 1년 동안 일감 없이 손을 놓고 있었다.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올해 주택건설 인허가물량을 보면 지난해의 63% 수준인 37만 가구로, 건설물량은 더욱 감소할 예정이다. 인천도 5천 가구가 들어설 계획이어서 이 같은 건설경제 악화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지금은 비상시기로 지역 물량에 의존하지 말고 서로 힘을 합쳐 타지로 진출해야 할 때”라며 “서로 출혈경쟁은 그만두고 지역 건설업을 키울 수 있는 지역 건설업체 육성 정책 마련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