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격차↓·근로환경↑… 中企 인력 미스매치 해소 ‘심혈’

한정화 중기청장, 경기중기센터 창립기념 특별강연

중기 집중 경기지역 인력난 여전히 심각… 예산ㆍ제도 ‘총력’

창조경제시대 ‘기업가 정신’ 재무장 “벤처ㆍ창업 지원 확대”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이 구직자들이 대기업만 선호하면서 중소기업이 구인난을 겪는 ‘인력 미스매치’ 해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한 청장은 4일 오전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창립 16주년을 맞아 개최한 ‘창조경제와 중소기업 정책방향 특별강연’에서 경기지역 중소기업과 구직자 간의 인력 미스매치 해소 등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획기적인 방안 25가지를 오는 9월 고용노동부와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 청장은 “경기지역에 중소기업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는데, 평택 등 산업단지에서는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이 많은 것으로 안다”며 “인력 미스매치는 가장 어려운 문제이지만, 예산과 제도적인 장치 등을 마련해 해결할 것”이라며 구상중인 방안을 크게 3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첫 번째로 중소기업-중소기업,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고, 두 번째로 산업단지 등 공장밀집 지역에 문화와 교육ㆍ보육여건을 개선해 젊은 근로자들이 일하고 싶어하는 일터 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병역제도 등을 통해 젊은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고, 중소기업의 이직률을 낮추고 장기적으로 재직할 수 있는 방안 25가지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이어 한 청장은 박근혜정부의 핵심 국정 방향인 창조경제를 ‘기업가 정신이 발현되는 기업가형 사회’라고 정의하면서, “우리나라가 근대화를 이루며 경제적 성장에 성공했지만, 현재 우리 사회에 창조성과 도전정신이 결합된 기업가 정신이 침체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창조성과 도전정신이 결합된 기업가 정신을 만들어 내는 게 국가적 과제”라며 기업가 정신 활성화를 위한 혁신 창업 생태계 활성화방안으로 시장확대, 투자확대, 기술사업화 지원, 공정거래 상생협력, 실패비용 감소, 기업가적 역량강화 등 6가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그동안 창업을 할 때 자금마련 방법이 대출 등에 한정돼 피해가 크고 창업이 활성화 되지 않았지만, 엔젤 투자와 코넥스 시장 출범 등 획기적인 투자 법안이 만들어져 앞으로 우리나라에 창업 혁신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한 청장은 또 창조경제의 핵심인 벤처ㆍ창업 활성화는 성장, 회수, 재투자의 선순환 시스템으로 구축하며, 아이디어만 있으면 창업을 돕는 ‘무한상상 국민창업 프로젝트’ 등으로 창업 플랫폼 구축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어 한 청장은 “중기청에 의무고발제가 도입돼 대기업 관련 부당 조사와 신고를 받는 등 불공정관행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권한이 커졌다”며 “대기업의 몫을 중소기업으로 돌리고, 불공정관행 바로 잡아 대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중소기업의 발전을 위한 기관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