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이전’ 사실상 철수 정부 지원책 강력 촉구
개성공단 통행금지 석달째를 맞는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계ㆍ전자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사실상 개성공단 철수 의사를 밝혔다.
개성공단 기계ㆍ전자부품소재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3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공단 내 설비의 국내외 이전에 필요한 조치와 지원책을 강구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 달 20일 투자규모가 크고 장마철 습기에 취약한 고가의 기계장비가 공단 내에 녹슬고 있다며 개성공단 통행금지 석달 째를 맞는 3일까지 남북이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중대한 결정을 내리겠다고 통보하는 등 다른 업종보다 강력한 대응을 주문해왔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123개사 중 기계ㆍ전자부품소재기업들은 총 46개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기지역의 경우 반도체, 전자 등 모두 8개사의 기계ㆍ전자부품소재기업이 입주해 있다.
이들 기계·전자 업체는 국내외 다른 지역에서 생산을 계속 하기위해 설비를 돌려달라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공장가동에 필수적인 기계설비의 이전은 사실상 개성공단사업의 포기까지 감수하겠다는 의사로 비쳐진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기업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어조로 공단 사태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요구했다.
한재권 대표 공동위원장은 “파행 사태 석 달이 됐는데도 정부 지원 중 실제 기업에 지원된 금액은 695억원에 불과하다”며 “기업인들의 피해를 보상받기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정부의 대책 마련을 계속 촉구하는 한편 개성공단의 어려운 상황을 국민에게 직접 호소하기 위해 4일 공단 정상화를 염원하는 ‘평화 국토대행진’에 나선다. 이들은 부산에서 출발해 대구·구미·대전·세종시·천안·수원·여의도·광화문 등 20여 곳을 거쳐 오는 28일 통일대교에 도착할 예정이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