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집 줄인 ‘광명시흥 보금자리’ 자족복합도시로

국토부, 공급과잉 우려 기존 9만4천호서 2만~3만호↓…  내년부터 보상 기본조사

이명박 정부 때인 2010년 5월 3차 보금자리 지구로 지정됐으나 부동산 침체 등으로 중단된 광명 시흥 보금자리지구가 기존 9만4천호에서 6~7만호로 사업규모를 줄여 추진한다. 내년부터 보상을 위한 기본조사가 시행된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이러한 내용의 광명 시흥 보금자리지구(1천740만㎡)의 사업 정상 추진을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가 2만~3만호를 줄여 6~7만호를 건립하는 것은 2020년까지 광명 시흥 권역 내 공공택지 주택공급물량이 약 19만호로 추정, 공급과잉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광명 시흥지구를 공업지역(산업단지로 추진도 가능), 대규모 물류단지, 벤처용지를 활용해 자족형 복합시설 단지 297만여㎡를 조성한다. 여기에는 앵커 기능을 우선 유치, 주택수요를 창출하고, 주택용지는 인근 지역 주택수요에 맞춰 공급할 예정이다.

지구경계를 조정해 마을지구(1천741천㎡), 군사시설(1천327천㎡) 등은 배제하고, 지구 내 사업도 축소된다. 지구 내 일부 마을지구는 존속시키거나 택지를 정리해 되돌려주는 환지 방식을 적용하고, 수요자나 지자체가 직접 개발을 원하는 부지는 원형지 공급, 대행개발 등을 통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국토부는 밝혔다.

특히 지구 내 공공주택 비율도 50% 수준까지 축소(현재 전체 71%)해 공공주택 건설부지를 민영택지 등으로 전환한다. 지구 남단에 조성하는 공장이전용지는 ‘선 이전-후 철거’ 원칙에 따라 현재 지구 내 산재해 있는 2천여개의 공장을 이전해 산업단지로 조성,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기업에 취득세 면제 혜택 등이 제공된다.

국토부는 “광명 시흥지구 전체 사업은 총 3단계로 나눠 순차적으로 개발될 예정”이라면서 “법률 개정 상황에 따라, 하반기쯤 구체적 사업계획안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광명 시흥 사업축소를 시작으로 도내 하남 감일, 성남 고등, 남양주 진건, 과천지식정보단지지구 등 나머지 지구도 조만간 가구 수 축소에 들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김요섭 기자 yoseop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