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제재, 도내 360곳 피해 우려 작년 12억달러 수출… 판로 막혀
다음 달 1일부터 발효되는 미국의 이란 제재조치 강화로 그동안 엔저 현상으로 시름을 겪었던 경기지역 수출 중소기업이 또 한번 파고를 맞게 됐다. 24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7월 1일부터 발표되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조치로 피해가 예상되는 수출 중소기업은 1천168곳으로 경기지역은 모두 360곳이 해당된다.
지난해 경기도의 이란 수출 규모는 11억9천652만9천달러이며, 지난 5월 수출 금액은 4억8천741만9천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2.5%늘었다.
그동안 에너지 관련 일부 제품에 대해 이란 수출 금지조치를 해왔던 미국은 ‘국방수권법 2013년 행정명령’을 통해 △이란의 에너지ㆍ조선·항만 분야 관련 거래 △이 분야와 관련한 철강 등 원료ㆍ반제품 금속 거래 △이란의 자동차 생산 및 조립과 관련한 거래와 관련된 수출을 제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처로 철강 반제품, 자동차 부품 등으로 제재 품목이 크게 확대된 것이다.
특히 미국은 글로벌 해운사의 이란 운행 자체를 중단시켜, 제재 품목에 해당하지 않는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도 이란과의 교역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 이란으로 가는 운항이 차단돼도 아랍에미리트연합까지 운송을 하고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해 수출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운송료 인상으로 제품 단가가 상승해 이란 제재가 언제 풀릴지 모르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수출에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 정부에서는 이란 수출 길이 막힌 중소기업이 대체시장을 찾을 수 있도록 판로개척을 지원할 예정이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새로운 판로를 찾기가 쉽지 않아 이란 수출 중소기업의 줄도산도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지역중소기업청에 1대1 기업별 담당관을 배치하고, 유동성 공급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란 수출 기업들은 제재에 미리 대비해 적극적인 판로 개척 등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