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경력단절을 막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기업내에서는 여전히 출산ㆍ육아휴직을 편히 이용하는 분위기가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은 최근 737개사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실제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업무에 복귀하는 비율은 절반에 못미치는 45.1%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18일 밝혔다.
절반 이상은 ‘휴가를 쓰지 않고 바로 퇴사’를 하거나(32%), ‘휴가를 쓰고 대부분 복귀하지 않는 편’(22.9%)이었다. 또 기업의 10곳 중 7곳(76.1%)은 여성 직원이 출산 및 육아휴직을 쓰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이렇다 보니 출산ㆍ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법으로 보장된 휴가일 수의 절반도 쓰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출산ㆍ육아휴직이 있는 기업 447개사의 여성 직원들이 쓴 출산 전후 휴직기간은 평균 6개월로 법적으로 보장된 출산 휴가 90일과 최대 1년을 절반도 쓰지 못하고 있었다.
또 기업의 10곳 중 1곳(9%)은 제도를 이용한 여성 직원에게 퇴사를 권유한 적 있으며, 그 중 62.5%는 ‘실제 퇴사로 이어진 직원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 4일 ‘고용률 70%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자녀의 나이를 만 6세 이하에서 만 9세 이하로 확대하고, 육아휴직을 나눠서 사용할 수 있는 횟수도 1회에서 3회로 늘리기로 했다.
또 아이를 낳은 여성 근로자들이 직장 눈치를 보지 않고 육아휴직을 쓸 수 있도록 자동 육아휴직제도 제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