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수원 ‘모바일 연구소’ 본격 가동

수원서 휴대전화 제2도약 나선다 삼성 ‘모바일연구소’ 본격 가동

지상 27층 지하 5층, 연면적 30만8천980㎡

연구개발ㆍ특수실험실 등 집합 1만명 입주

“기술혁신 선도… 세계적 연구 중심지로”

삼성전자 차세대 스마트폰 개발의 산실이 될 수원 ‘모바일연구소(R5)’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수원디지털시티는 첨단 기술 개발을 위한 글로벌 R&D의 메카로서 위상을 강화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10일 오전 9시 김문수 경기지사, 염태영 수원시장,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윤부근ㆍ신종균 대표이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모바일연구소 입주식을 개최했다.

모바일연구소는 삼성전자 수원사업장 내 다섯번째로 들어선 종합연구시설로 지난 2010년 12월 첫 삽을 뜬지 2년 6개월 만에 완공됐다. 지상 27층, 지하 5층, 연면적 30만8천980㎡ 규모의 트윈타워 건물인 모바일연구소에는 휴대전화 연구개발 인력을 비롯한 1만여명이 입주하는 등 그동안 흩어져 있던 휴대전화 연구개발과 모바일 기기 관련 특수실험실 등이 한데 모아진다.

또한 국제공인을 받은 전자파적합성(EMC) 실험실과 블루투스, 와이파이 실험실은 물론 안테나, 오디오&개발실 등도 입주해 업무를 보게 된다.

이와 함께 60여개 국제 지ㆍ법인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150개소의 화상회의실을 갖추고 있으며, 1천여명의 내방객을 수용할 수 있는 회의실 등의 별도 공간도 마련했다. 입주 임직원의 쾌적한 근로환경을 위한 피트니스 센터와 수영장, 인공 클라이밍 등 다양한 부대공간과 시설도 완비했다.

삼성전자 수원 디지털시티 안에는 이날 문을 연 모바일연구소를 포함, 1980년 개관한 ‘종합연구소(R1)’를 시작으로 ‘DMC연구소(R2)’, ‘정보통신 연구소(R3)’, ‘디지털연구소(R4)’ 등 모두 5개의 연구센터가 자리해 있다.

특히 이들 연구소를 통해 각종 가전제품의 신기술과 와이브로, 3.5∼4세대 이동통신 표준기술, 영상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등 삼성전자의 기술력을 세계수준으로 올려놓은 대들보 역할을 했다는 것이 삼성 측 설명이다.

신종균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R5는 삼성 휴대폰의 제2도약을 준비하는 변화와 발전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R5뿐 아니라 바로 옆에 위치한 R3, R4와 함께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세계적 연구 중심지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개관식에 참석한 김문수 지사는 “차세대 모바일 산업에서 R5가 혁신을 이끄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뿐 아니라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