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중반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내수면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국가어도 통합관리방안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어촌공사(사장 박재순)와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31일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정부, 국회, 지자체, 농어업유관기관 및 학계 전문가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회 국가어도관리방안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백재민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현재 지자체와 농어촌공사 및 수자원공사 등으로 다원화돼 있는 어도 시설물 관리기관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며 “또 내수면어업법 제·개정 및 정부·지자체간 어도관리 업무연계 강화와 더불어 국가어도 통합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어도개념과 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국내 전문가들의 발제도 이어졌다.
장민호 공주대 교수는 “설치면적, 심미적 기능 등에 집중된 인간중심적 어도관념에서 벗어나 이동시간, 이용어종 등 어류를 위한 자연형 어도개념 정립과 설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옥 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박사는 “국가어도 관리위원회 운영 및 어도 전 과정 이력관리 등 정부주도의 어도관리체계 구축 노력에 발맞춰 지자체 및 관련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 일본 국토부 리버프론트연구소 노나카 텐리 수석연구원은 “효율적인 어도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관리모델의 발굴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재순 사장은 “농어업 수리시설물 전문관리기관으로서 내수면 수산자원 보호와 건강한 하천생태계 조성을 위해 어도설치 및 체계적 관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