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연구통해 생물다양성 증진·수질 개선 등 밝혀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한 웅덩이인 ‘둠벙’이 논 생태계의 보고인 것으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둠벙이 논 생태계 생물다양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둠벙이 있는 논이 없는 논에 비해 우렁이, 소금쟁이 등 친환경 농업에 도움이 되는 수서무척추동물이 2.7배 많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8∼9월에 걸쳐 경기 화성, 충남 예산·홍성, 경북 울진, 전남 담양 등 전국 5개 지역별로 둠벙논 1곳과 둠벙없는 논 1곳을 선정해 비교·조사했다. 그 결과 둠벙 논에서는 수서무척추동물이 59종 5만274개체가 서식하고 있지만 둠벙 없는 논에서는 이보다 훨씬 적은 50종 1만8천662개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악된 수서무척추동물군으로는 연체동물문, 환형동물문,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딱정벌레목 등이었으며 특히 연체동물문과 환형동물문이 둠벙논에서 더 많이 발견됐다.
농진청은 수서무척추동물이 다양해지고 개체 수가 많아질수록 병해충을 자연적으로 조절하고 잡초를 억제할 수 있어 친환경 농업환경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명현 농진청 기후변화생태과 연구사는 “둠벙은 1980년대 이후 경지정리사업 과정에서 급격히 사라졌다가 최근 생물다양성 증진, 수질 개선, 가뭄 해소 등의 방안으로 지자체별 조성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며 “둠벙이 논 생태계에 어느 정도 이바지하는 지 밝혀낸 첫 연구 성과”라고 설명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