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웰빙 시래기… 세계인 입맛 사로잡았죠"

박진수 제주영농법인 이노티엔씨 대표이사

‘버리면 쓰레기, 말리면 웰빙 시래기’

무청 시래기가 웰빙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한 영농조합법인 대표가 시래기를 친환경 공법으로 특성화해 도시인과 세계인의 입맛을 유혹하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박진수 제주영농법인 이노티엔씨(INNO T&C) 대표이사(51).

박 대표가 시래기를 특성화 한 것은 농민들이 채소값 하락과 일손 부족 등으로 애써 만든 농산물을 갈아 엎거나 버리려지는 무청을 보고 농가의 새로운 소득으로 만들기 위해 시작했다.

이를 위해 박 대표는 2~3년 전부터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에 165만㎡ 규모의 농장(무밭·화산 회토 토질)을 조성하고 농장 인근에 3천300㎡ 규모의 최첨단 공장시설(무가공 전용실·저온냉장고·급냉실·가공전용실 등)을 세웠다.

이 시설은 연간 1만t 규모의 시래기 생산능력을 갖췄으며 재래의 전통 건조방식을 탈피해 위생적인 최첨단 자동시스템으로 찌기와 숙성, 세척 과정을 거친 후 곧바로 급속 냉동 포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 그는 법인 설립과 동시에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 공략을 위한 유통망을 구축한 후 지난해 12월 무청 시래기를 재료로 농산물 생산·도소매 영농법인을 제주도(본사)와 서울에 각각 개소했다.

박 대표의 시래기는 불리거나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없이 조리가 가능하므로 노동력 손실이 적어 농협 하나로마트와 군부대, 대형음식점, 대형마트 등에서 큰 호응이 얻고 있다.

지난 1월 400t(1t당 110만원 상당)의 매출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2월과 3월에는 각각 500t, 600t 등으로 꾸준히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박 대표는 “제주 무청 시래기가 좋다는 것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면서 재외 교포들이 많이 거주하는 일본과 미국 등에서 문의가 쇄도하고 있어 해외 수출 판로 개척은 시간 문제”라며 “연내 1만t의 매출을 목표로 동분서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