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때 바지락 유통 시작해 일본 수출…신보 지원 강한 '버팀목'
15일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에 있는 사업장에서 만난 노춘자 해송수산영어조합법인 대표(65·여)는 평생을 대부도에서 바지락 한 길만을 파왔다.
대부도에서 태어나 가정환경을 이유로 일찍이 학업을 중단하고 10대 때부터 바지락을 채취해 인천 연안부두 도매상에 넘기던 때만 하더라도 하루 벌어 하루 사는 어느 어민과 다를 바 없었다.
그러다 1년간의 서울생활에 좌절, 19살 때 단순한 바지락 채취만으로는 벌이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당시 큰돈인 5만 원을 빌려 채취한 바지락을 직접 유통하는 데까지 뛰어들었다.
이후 갖은 고생을 다 겪었지만, 손해를 감수하고라도 어민에게 제값을 쳐주고 외상거래는 일절 하지 않으면서 노 대표와 거래하는 어민들이 하나 둘 늘어갔다.
1986년 대부도가 육지화된 이후 대부도의 바지락 생산량은 절반 이하로 줄었지만, 안면도, 태안반도 등 다른 지역 어촌계에서 먼저 노 대표를 찾아와 거래할 정도다.
대부도의 망가진 어장을 살리고자 수년에 걸쳐 70억 원이 넘는 돈을 쏟아부은 노력이 보상받았는지, 지난 2005년 이마트로부터 납품을 제안받아 전국 100여 개 점포에 바지락을 연 40억 원 가량 독점으로 공급하고 있다.
노 대표는 대형마트 납품 이후 바지락의 품질 관리에도 눈을 돌려 냉동탑차, 선별기, 금속탐지기 등 첨단 설비를 들여와 깐깐하기로 소문난 대형마트에서도 엄지손가락을 치켜들 정도로 바지락 상품화에 힘썼다.
이미 일본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직접 운반차량까지 끌고 노 대표를 찾아 와 바지락을 사갔다. 일본시장과 인연을 맺은 노 대표는 일본 매체에도 수십 차례 출연할 정도로 일본에서 먼저 알아본 바지락계의 ‘큰 손’이다.
현재 사업장 인근에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을 충족한 새 공장을 짓고 있으며, 공장시설이 올해 안에 완공되면 바로 미국과 유럽 등지로 국내산 바지락을 수출할 예정이다.
물론 연매출 170억 원의 바지락 유통업체를 만들기까지 어려움이 많았지만, 그럴 때마다 신용보증기금은 노 대표에게 큰 힘이 됐다.
어촌계에서 거래 보증금으로 수억 원을 요구할 때도, 새로운 바지락 처리시설을 들여와야 해 시설자금이 필요할 때도, 맨손으로 시작해 제대로 된 담보 하나 없는 노 대표에게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그럴 때마다 신보는 노 대표와 해송수산의 경쟁력만을 보고 과감히 자금을 지원, 지금의 해송수산을 만드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노 대표는 “큰 욕심 부리지 않고 열심히 사는 모습을 보고 어민과, 대형마트, 신보, 지자체에서 도와준 덕택”이라며 “일선에 은퇴하기 전에 대부도에 복지시설과 종교시설을 건립하는 등 작은 보답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