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기술육성재단 설립, 과학·소재기술 등 10년간 집중지원 삼성 적극 행보에 정부정책 ‘탄력’… 재계 전체로 확산 조짐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인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삼성이 수조 원 대 기금 출연을 발표한 가운데 재계의 관련 프로젝트 역시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13일 삼성그룹은 과학분야,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융합형 창의과제 등 3대 미래기술 육성 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한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설립, 10년간 1조5천억원을 출연한다고 밝혔다. 1차로 올해 3천억원을 포함해 2017년까지 5년간 총 7천500억원, 2차로 2022년까지 추가로 7천500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의 이런 계획은 민간 기업으로서 ‘창조경제’로 대변되는 현 정부의 정책에 적극적인 동참 의사를 밝힌 것으로 평가된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은 오는 6월까지 지원 및 육성 프로그램을 공지하고 7월 내 과제를 접수, 10월 중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또 연구 과제의 사업화를 위해 지원이 필요할 경우 삼성의 노하우와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독려할 방침이다.
삼성이 수조 원에 달하는 창조경제 지원 기금을 출연하면서 이 같은 분위기는 재계 전체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모 재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정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현대차그룹이나, LG그룹 역시 준비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며 “일부 대기업은 TF팀을 꾸려 구체적 방안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있었던 박 대통령과의 조찬 간담회에서 “자동차산업의 창조경제 실현에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올해 투자액 중 40%가량인 7조원을 미래차ㆍ고효율 신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연료전지차 배터리 및 제어기술 개발 등에 투자할 계획이며 오는 2020년까지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전체 판매량의 10% 수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24일 전경련은 창조경제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체험형 과학관 등 과학 문화 확산과 창조 인재 육성, 산업간 융복합 등의 추진 과제를 선정했다. 창조특위 위원은 현대차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SK경영경제연구소, 산업연구원 등 민관 연구기관장과 전국은행연합회 등의 단체장을 포함한 주요 기업인 51명으로 구성됐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삼성그룹의 창조경제 지원에 따라 다른 재계 역시 관련 예산과 기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를 통해 정부의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고무된 반응을 보였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