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가 130만명을 넘고, 1인당 대출액도 4천4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다중채무자는 지난 2010년 6월말 87만7천명에서 지난해 말 130만1천명으로 2년 6개월 만에 42만명이나 급증했다.
다중채무자는 2011년 3월 말 105만7천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선 뒤 그해 말 121만5천명까지 치솟았다. 한 해 평균 10만∼20만명 이상 늘고 있는 셈이다.
특히 다중채무자의 74%에 달하는 96만2천명은 은행권에서 아예 돈을 빌리지 못해 제2금융권과 대부업체에서 대출한 것으로 분석돼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통상 은행권의 가계대출 금리는 연 10% 미만이고, 저축은행ㆍ캐피털ㆍ카드사 등 2금융권은 15~25%, 대부업체는 39%에 달한다.
다중채무자의 대출 규모도 빠르게 늘고 있다. 다중채무자의 총대출액은 2010년 6월 말 34조원에서 지난해 말 57조4천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 1인당 대출액도 3천877만원에서 4천412만원으로 급증했다.
한은은 이 같은 다중채무자의 급증 원인을 베이비부머 은퇴 등으로 50대 이상 퇴직자가 대거 자영업에 몰리면서 발생한 과잉경쟁으로 이들의 자금수요가 다중채무자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 연령별로 다중채무자의 가계대출액 비중 추이를 봐도 30대 이하는 2010년 21.3%에서 지난해 20.2%로 줄었지만, 50대 이상은 39.6%에서 42.1%로 높아졌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악성 다중채무자는 우리나라 가계대출자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며 “경기침체가 장기화시 집단 파산이나 금융권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