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토종 호품·신동진 선정… 수량 등 고시히까리 보다 우월
초밥에 가장 알맞은 쌀로 일본 품종이 아닌 국산 품종이 선정돼 눈길을 끌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조미숙 이화여대 교수와 함께 지난 2011년부터 2년 동안 초밥에 알맞은 쌀 품종 선발에 관한 연구를 추진한 결과 고시히까리가 아닌 우리쌀 ‘호품’, ‘신동진’이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초밥용 쌀은 밥을 했을 때 일반 밥쌀에 비해 밥알은 탄력성이 있으면서 입안에서는 잘 풀어지고, 초를 쳤을 때는 밥알이 쉽게 허물어지지 않는 품종이 좋다.
한국과 일본인으로 구성된 초밥전문가 31명을 대상으로 초밥의 외관 선호도와 맛 평가를 실시한 결과 ‘호품’과 ‘신동진’은 알맹이가 커서 초밥을 쥘 때 모양이 잘 만들어지면서 느낌이 좋고, 만들고 난 후 눈으로 보기에도 좋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호품’과 ‘신동진’의 쌀 수량은 550㎏ 이상으로 ‘고시히까리’보다 10% 이상 수량이 많아 초밥용 쌀을 생산하는 농가의 수익도 확보할 수 있다.
농진청은 이번 평가를 통해 초밥을 만들 때 막연히 일본쌀이 좋다는 인식을 바로잡고, 국내에서 개발한 쌀 품종이 초밥용으로 확대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정곤 농진청 답작과장은 “앞으로도 개발한 쌀 품종을 대상으로 도시락, 김밥 등 즉석식품에 알맞은 쌀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 밥의 소비 트렌드 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