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 “소득↓ 비료값↑… 정부 지원마저 끊으면 어쩌라고”
정부의 맞춤형 비료 지원 사업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처해 경기지역 농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맞춤형 비료란 각 토양환경에 맞게 30종의 성분을 배합한 비료로, 화학비료 절감과 토양환경 개선 효과가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 2010년부터 맞춤형비료 보조사업을 시행, 한 포대(20㎏·평균 판매가격 1만1천990원) 당 800원을 지원했으며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 17억원 상당의 4만2천t의 비료가 농가에 지원됐다.
하지만 지난해 연말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300억원의 예산이 전액 삭감된데 이어 이번 추경에도 반영되지 않았으며 도와 시·군도 맞춤형 비료 지원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농민들과 농민단체는 영농부담이 크게 가중될 것이라며 사업을 지속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화성에서 쌀농사를 짓는 이모씨(56)는 “지원예산이 해마다 줄더니 급기야 올해부터는 지원되지 않아 연간 수십만원의 비료값이 더 들어가게 됐다”며 “소득은 매년 줄어드는데 필수 영농자재인 비료값이 올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도 “맞춤형 비료 사업이 중단되면 비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농가 부담은 물론 농가들이 다시 화학비료를 사용할 가능성이 커 친환경 농업 육성에도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현재 국회 예결위를 대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