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기금 가접수 첫날… “희망 수혈받자” 창구마다 북새통
국민행복기금 30일까지 가접수… 온라인 접수도 OK
신청자 몰려 접수 대기 ‘장사진’
복잡한 서류로 우왕좌왕 ‘혼란’
상당수 자격미달… 아쉬운 발길
“원금은 물론 이자도 갚지 못하고 있어 이젠 빚이 얼마인지도 가늠조차 힘들다”는 박모씨(63)는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신청차 행복지원센터를 찾았지만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서류미비로 채무조정을 못 한 박씨는 “30∼40분 대기했는데 신청하지 못했다”며 “챙길 서류가 생각보다 복잡하고 많아 준비하는 데만 며칠 걸릴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신청 가접수가 시작된 22일 수원 원천동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9층에 위치한 행복지원센터에는 박씨처럼 채무부담을 덜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로 온종일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접수를 시작한 센터에는 이달 1일 시작된 ‘바꿔드림론’ 접수 때보다 두 배 가까운 채무자가 몰려 가계 부채의 심각성을 실감케 했다.
보통 대기인원이 2∼3명을 가리키던 대기표 번호기의 대기인원 수는 15∼20명을 가리키며 영업이 종료되는 오후 6시까지 꾸준히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캠코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첫날 신청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해 강당으로 쓰던 곳을 접수처로 개조해 운영하고 있다”며 “영업개시 30분전부터 4∼5명의 신청자가 입구에서 대기하고 있는 등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찾은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렇듯 많은 신청자가 이날 캠코 경기지역본부를 찾았지만 자격기준을 갖춘 사람은 많지 않았다. 또 가접수 사실만 인지하고 증빙서류를 갖추지 않은 채 무작정 센터를 방문한 사람도 세 명 중 한 명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실제 이날 캠코 경기지역본부(오후 5시 기준)를 방문한 신청인 수는 모두 236명으로 이 중 76명이 자격기준을 갖춰 채무조정 신청을 완료했다. 채무조정신청은 1억원 이하 채무, 6개월 연체자만 해당되며 신분증 사본과 주민등록등본, 소득증비서류를 갖춰야 한다.
자격기준에 들지 못해 상담직원에게 아쉬움을 토로하는 채무자들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성실 채무자라고 자신을 소개한 김모씨(60ㆍ여)는 “매달 은행 이자만 35만원씩 나가고 있지만 빚이 불어나는 게 싫어 팍팍한 살림에도 지난 5년간 단 한 번의 연체도 해 본 일이 없었다”며 “6개월 이상 연체자만 채무조정을 해주는 것은 성실하게 채무변제를 했던 사람에 대한 역차별이 아니냐”고 항변했다.
김씨의 상담을 맡은 창구직원은 “김씨처럼 자격기준에 들지 못해 채무조정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다”며 “이런 경우 ‘바꿔드림론’을 통해 대출금리를 낮추는 방법을 권해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박광춘 캠코 경기지역본부 팀장은 “우리도 최대한 많은 분의 채무부담을 덜어드리고 싶지만 도덕적해이나 한정된 기금문제로 일부 제한되는 부분이 있다”며 “국민행복기금 이외에도 워크아웃 등 다양한 채무 대책이 있으니 참고해달라”고 당부했다.
국민행복기금은 이날부터 30일까지 채무조정신청 가접수를 받는다. 본 접수는 5월1일부터 10월31일까지다. 가접수 기간에는 신청 접수 업무만 받고 나중에 추후 심사 및 채무조정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가접수하는 즉시 채권 추심이 중단되므로 사채업자에 시달리는 서민에게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