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측 “그동안 갈등 사슬 끊고 학교 발전 전기됐으면” 비대위 “일방적인 밀실협약 수용불가 즉각 파기 마땅”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하대학교가 대학캠퍼스 이전을 위한 사업협약을 체결했으나 여전히 비상대책위원회가 반발하는 등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인하대학교와 대학캠퍼스를 기존 송도 5공구에서 11-1공구로 이전하는데 최종 합의, ‘인하대 송도지식산업복합단지 조성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박춘배 인하대 총장은 학생과 총동창회 등 학내외 구성원에게 사업협약 체결을 알리는 이 메일을 통해 “(많은 구성원이 애초 계획인) 2014년보다 송도 캠퍼스 조성이 늦어지는 것에 허탈함을 넘어 분노까지 느낀다는 사실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2014년 부분 개교는 대내외적인 상황 탓에 이룰 수 없는 꿈이었다고 설명했다.
인천경제청은 “인하대 송도캠퍼스 이전에 따른 캠퍼스 개교시점 문제 및 재단의 투자의지 등과 관련해 인하대 비상대책위원회와 시민단체의 우려 사항을 잘 알고 있다”면서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11-1공구 사업부지를 기한 내(2015년11월) 매립하고, 약정 기간 내 착공과 준공하는 내용을 공식적으로 합의한 만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인하대학교 관계자는 “이번 협약이 그동안 부지 이전과 관련된 학내의 갈등들이 2014년 개교 60주년을 맞는 인하대학교의 21세기 새로운 대학 발전의 모델과 콘텐츠를 다양한 목소리로 서로 논의하고 화합하는 분위기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수회와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송도캠퍼스 비상대책위원회는 협약을 인정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비대위는 이날 ‘송 시장과 조양호 회장은 구성원들의 동의 없는 밀실협약 즉각 파기하라’라는 글을 통해 “우리의 요구가 진정으로 인천과 인하대의 미래를 위한 상생방안임을 확신한다”며 “밀실협약이 파기되지 않는다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심판할 것을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정재훈 비대위원장은 “매립이 언제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매립예정지로 캠퍼스를 옮기는 협약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박 총장이 일방적으로 추진한 협약인 만큼 즉각 파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창수·박용준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