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디높은 제조업 문턱 신보지원으로 기사회생
“인천지역 영양사 후배들과 신용보증기금이 저를 여기까지 키운 거나 다름없어요. 아니었다면 오가는 사람이 특히나 많은 급식시장에서 버티기 어려웠을 겁니다.”
16일 인천시 서구 가좌동 ㈜에스알씨(SRC) 본사에서 만난 신연화 대표(여·49)는 150가지에 이르는 제품 자랑에 여념이 없었다.
여성 기업인이 이끄는 회사라 아기자기한 회사라 상상했다면 큰 오산이다.
전국 학교 절반에 해당하는 5천여 학교에 SRC에서 만든 제품들이 들어가고 있으며,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40억 원이나 늘어난 191억 원을 기록, 올해 200억 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CJ, 풀무원 등 대기업들이 판을 치는 급식 업계에서 냉동식품 분야는 단연 SRC가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신 대표는 인천지역 기업 소속 영양사로 줄곧 일하다 고민 끝에 지난 1999년 본인의 이름을 딴 ‘신연화 급식 리서치 컨설팅(SRC)’으로 급식업계에 뛰어들었다.
이후 2001년 급식 제품을 개발해 납품하기 시작한 신 대표는 역발상으로 유통과정을 믿을 수 있는 냉동식품을 내세워 시장 개척에 나섰다.
1천 명이 넘는 아이들에게 같은 품질의 음식을 제공해야 하는 급식의 특성을 손바닥 보듯이 파악하고 있는 신 대표는 당시 냉장, 반조리 제품에 익숙해져 있던 급식시장을 오직 제품으로만 승부를 겨뤄 하나씩 바꿔냈다.
이때 개발한 청파래 오징어 가스, 초콜릿 아이스 찹쌀떡 등은 지금도 인기를 끄는 SRC의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신 대표에게도 역경은 있었다.
OEM에서 생산 과정까지 직접 챙기려고 2008년 공장을 세우고 직접 생산으로 전환했지만, 제조업의 문턱은 높디높아 신 대표에게 월 5천만 원의 적자만을 안겨주고 있었다.
계속된 시설 투자로 운영 자금까지 바닥난 신 대표는 은행권을 찾았지만, 담보가 없는 여성 기업인을 모두 외면했지만, 신보만은 신 대표의 손을 잡아줬다.
신보는 이 대표의 운영 수완과 경영상태를 믿고 2억 원 보증지원했고, 이 2억 원을 바탕으로 신 대표는 공장을 정상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에도 공장 증설 등 자금이 부족할 때마다 신보는 모두 34억 원을 지원하며 SRC를 지원사격했고, SRC는 고품질의 아이들 먹을거리를 개발해 내며 매년 성장할 수 있었다.
신 대표는 “아이들 먹을거리에 중요한 것은 맛도 가격도 아닌 안전한 유통과정”이라며 “올해에도 매출 300억 원을 목표로 차별화된 급식을 아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