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이 12일 취임 후 첫 행보로 경기지역 기업들을 방문한 가운데, 이날 오후 경기지역 내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을 만나 개성공단 잠정중단에 따른 애로 사항을 청취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은 조업중단으로 인한 손실을 비롯해 바이어들의 신뢰도 추락과 같은 무형의 피해가 크다며 애로 사항을 쏟아냈다.
지난 2005년 개성공단에 입주한 A사 대표는 “거래체들이 ‘당신들과 거래를 않겠다’고 난리”라며 “이번 사태로 이미 거래처의 절반정도가 날아갔는데 기계나, 금형, 건물은 다시 만들 수 있지만 개성공단이 다시 재개되도 한번 잃어버린 신뢰도를 회복하는 게 가장 힘들 것”이라며 걱정했다.
입주기업 대표들은 피해보상을 위해 마련된 남북경협 보험이나 은행 대출 등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보다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방진마스크를 제조하는 B사 대표는 “남북경협 보험으로는 사실상 하나도 받을 게 없다”며 “현재 경협보험은 감가상각 등이 포함돼 있어 이를 처리하고 나면 의미가 없고, 자재는 보험에 거의 안들어가 기대할 게 없는 상황으로 정부에서 기업을 살린다는 의미로 보험의 의미를 크게 해석하지 않는다면 기대할 게 없다”고 토로했다.
언더웨어를 생산하는 C업체 대표는 “현 사태로 발생하는 영업피해와 공장을 돌리지 못하는 고정비용, 주재원, 인건비 등이 추가로 들어간다”며 “한 달간 중단됐을 시 얼마의 보험이 나오고 이런 대책보다는 실질적으로 당장 해결할 수 있는 대안들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그는 “기업들이 신뢰회복을 할 수 있게 현재까지 발생한 피해와 예상되는 피해, 경영 안정화를 위한 물적인 지원까지 관심있게 배려해달라”고 요구했다.
전자제품을 제조하는 D사 대표는 “정부에서 입주기업들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은행에서 5억을 대출해준다고 발표했는데, 이것은 사실상 빚만 늘어나는 것”이라며 “재난지역으로 선포해서 그동안의 피해를 보상하는 방안이나 대출금리 인하와 같은 중소기업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또한 입주기업 대표들은 북측에만 책임을 물을 게 아니라 우리 정부도 이번 사태의 책임감을 느끼고 해결을 위한 책임있는 태도가 필요하다며 빠른 해결책 모색을 당부했다.
한 청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들으니 훨씬 더 사태가 심각한 것을 알겠다”며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해 입주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고, 이번 사태를 남북간 새로운 경협을 할 수 있는 진통이라 생각해달라”고 답했다.
한편 이날 화성시 ㈜두성테크에서 열린 ‘개성공단 입주기업 간담회’는 한 중기청장을 비롯해 김종국 경기중기청장과 경기지역 5개 개성공단 입주 업체 대표 등이 참석해 1시간가량 진행됐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