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경기 불황 그늘이 서민의 주요 사업장인 근린상가 시장을 덮치고 있다.
특히 수익성 악화로 경매시장에 나온 상가들은 유찰을 지속해 가격이 절반 이하로 낮춰지는 등 깡통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새 주인을 찾기엔 역부족이다.
이 같은 현상은 지역 원도심을 비롯해 시내 전체로까지 확산하는 추세여서 지자체의 경기 활성화 부양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일 오후 12시 인천시 남구 옛 법원청사 인근, 이곳은 원도심의 상가 밀집지역으로 불황이 닥치기 전 평일 점심 시간이면 북새통을 이루던 지역이다.
하지만, 원도심 낙후현상이 심화된 오늘날의 현주소는 암담하기만 하다. 건물 대다수가 공실을 보였으며, 인근 자영업자들이 운영하는 몇몇 식당의 문도 굳게 닫혀 있었다. 최근 경매시장에 나온 감정가 5억 원의 한 상가는 주인을 찾지 못해 2억 6천만 원으로 몸값을 낮춘 상태다.
인천지방법원 경매 동향에 따르면 지역 근린상가의 경매 신청 건수는 지난해 말 기준 300건에 육박하고 있다. 원도심은 물론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부평지역의 근린상가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심 지역민의 소비생활까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경매시장에 나온 물건이 새 주인을 찾지 못하며 유찰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찰을 지속하고 있는 근린상가를 살펴보면 중구 지역의 A상가 2층 건물은 총 3회가 유찰돼 감정가의 50%까지 떨어졌는데도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증가로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는 분석도 있지만, 시장을 둘러보면 파산 걱정에 창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경매로 내놓아도 빚을 갚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상가’까지 속출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근린상가란 주거지역 인근에 입지해 주민의 생활편익을 제공하는 상점이 몰려 있는 곳으로, 일반 소매점, 일용품점 등 서민의 창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